경기도민 3명 중 1명은 ‘경기도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민들은 폭력범죄에 대한 불안함을 교통사고보다 크게 호소, 향후 경기지역 치안 대책 수요가 커질 전망이다.
도는 2일 이 같은 내용의 ‘도민 생활안전 인식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말 도민 1천 명(19세 이상)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우선 도민 30%는 경기도 생활안전에 대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해 지난해(31%)와 보합세를 보였다. 이는 지난해 여름철 발생한 기습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 9월 서울 상도유치원 붕괴사고와 메르스 확진, 12월 강릉 펜션사고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재해ㆍ재난이 이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도내 ‘불안요소’에 대한 물음에는 폭행ㆍ상해ㆍ살인 등 폭력범죄(37%)를 가장 많이 답했다. 차순위로는 보행ㆍ운전ㆍ탑승 중 교통사고(34%), 일상 속 생활안전사고(26%), 유해물질 누출 등 환경오염 사고(21%) 순으로 답했다. 특히 교통사고는 2017년(43%)과 지난해(37%)에 비해 2년 연속 낮아지고 있지만 폭력범죄에 대한 불안요소는 지난해(33%)에 비해 4%p나 증가했다. 이 같은 결과는 올해 초 ‘안양 이희진 부모 살해사건’, 지난 5월 ‘제주 전남편 살해사건’ 등 엽기적인 사건이 이어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풍수해나 감염병 같은 재난사고 발생 시 도민들의 일반적인 안전교육이나 훈련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결과 최근 5년 이내 학교, 직장, 인터넷, 책자와 영상물 등에서 안전 교육이나 훈련 경험 여부에 대해 도민의 58%가 경험이 없다고 응답, 교육받은 도민들이 절반도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ㆍ고령층ㆍ여성일수록 행동요령 인지도가 낮았다.
도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여전히 안전 사각지대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며 “특히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안전교육 및 재난 시 행동요령 홍보를 확대하는 등 도민들의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는 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했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3.1%p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