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2019 추계 정책토론 대축제’의 막을 올렸다. ‘경기도지방고용노동청 신설 과제와 방안 모색 토론회’를 시작으로 도내 곳곳에서 25차례에 거쳐 토론의 장이 펼쳐진다.
도와 도의회는 2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회식과 함께 ‘경기도지방고용노동청 신설 과제와 방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개회식에는 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염종현 대표(부천1), 김원기(더불어민주당ㆍ의정부4)ㆍ안혜영 부의장(더불어민주당ㆍ수원11), 임채호 경기도 정무수석, 양경수 민주노총 경기본부장, 김용목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등이 참석했다.
임채호 정무수석은 개회사를 통해 “경기도를 발전시킬 훌륭한 정책 대안과 의견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에 논의된 내용을 도정에 적극 반영해 도민 삶의 질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 염종현 대표는 “정책이 실제로 도민들의 복리를 위해 구현되는 방안을 마련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회식에 이어 김장일 의원(더불어민주당ㆍ비례)이 좌장을 맡아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과제와 방안 모색 토론회’가 진행됐다.
김장일 의원은 “도의회는 지난해 제331회 임시회에서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촉구 건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노력하고 있다”면서 “조속한 시일 내에 신설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용목 한국노총 경기지연본부 의장은 주제발표에 나서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을 미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경기도의 노동행정은 인천 및 강원도를 포함하는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 관할하고 있으며,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은 인천 미추홀구에 소재해 있다.
김용목 의장은 “타 지방고용노동청의 경우 지역의 평균 인구 수는 669만 5천 명 수준이나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은 1천729만 7천 명으로 약 2.7배에 달해 규모가 너무 광범위하다”며 “지역에 맞는 특색있는 노동행정을 펼치기에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전국 인구·사업체·종사자의 약 25%를 차지한다”며 “사업체가 모인 경기남부지역의 행정규모는 고용노동부 청 단위 기관을 상회해 노동행정 수요에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토론회에는 허원 의원(자유한국당ㆍ비례)을 비롯해 유광열 도 노동국장, 최정명 민주노총 경기본부 수석본부장, 신범철 경기대학교 교수, 김연풍 한국노총 경인지역본부 수석부의장 등이 토론자로 참석해 열띤 토론을 이어나갔다.
한편 ‘2019 추계 정책토론 대축제’는 ▲감사위원회 도입 방안 ▲농민기본소득 도입 방안 등을 주제로 오는 25일까지 열린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