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신임 금융위원장은 취임 후 첫 기업 현장행보로 소재·부품·산업 현장을 방문했다. 그는 소·부·장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전용 펀드 조성(가칭: 소·부·장 펀드)을 추진하고, 시장의 불안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확고한 금융 안정을 지켜나갈 것이라는 강조했다.
17일 은성수 위원장은 경기도 안성에 있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제조회사 ㈜아이원스를 방문해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은 우리 경제와 산업의 기초 체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밝혔다.
은 위원장은 “우리 경제가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 과정에서 소·부·장 산업은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수행했으나, 핵심소재의 높은 해외의존도 등 구조적으로 취약한 측면이 일부 있다”라면서 “우리 경제와 제조업의 안정적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소·부·장 산업의 재도약이 절실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은 위원장은 금융위가 우리 소·부·장 산업이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할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일본 수출규제에 영향을 받는 기업들에 대해 신속하고 충분한 금융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소·부·장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전용 펀드 소·부·장 펀드(가칭) 조성을 추진한다. 소·부·장 펀드는 재정·정책금융기관·민간 자금을 바탕으로 정부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에 2천억 원이 반영됐다. 또, 지난 10일 출범한 해외 M&A·투자 공동지원 협의체를 통해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의 기술력 확보 등을 위한 M&A·투자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은 위원장은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확고한 금융 안정을 지켜나갈 것이라는 점을 특히 강조했다. 그는 “우리 금융 부문은 대일 의존도가 높지 않고, 대체 가능성이 높고, 외환보유액도 충분해 수출규제 영향은 제한적이다”라면서 “하지만, 금융당국은 긴장감을 느끼고 향후 진행 추이 등을 예의주시하며 모든 가능성에 대처할 수 있도록 주도면밀하게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소재·부품·기업들은 자신들의 성공 경험담과 함께 정책적 제언을 제시했다. 참석기업들은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한 기술력 확보가 성공요인이었음을 공통적으로 언급했다. 또, 기술개발·사업화 단계에서의 자금난을 겪었던 경험을 전달하면서 금융의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했다.
은 위원장은 “금융이 소·부·장 산업 도약을 든든하게 뒷받침할 것이며 나를 ‘소·부·장 위원장’으로 불러 달라”라면서 “특히, 기업인들에게 기술개발에만 전념할 것을 당부하면서 기술개발 시까지 자금 걱정은 없도록 끝까지 챙길 것을 약속한다”라고 밝혔다.
은 위원장이 방문한 아이원스는 초정밀 부품 제조 및 세정 분야에서 26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우수한 기술력 바탕으로 독자적인 부품·설비 공정을 마련한 기업이다. 삼성·LG 및 반도체 장비 세계 1위인 미국 어플라이드 머트리얼즈에 납품 중이며, 새로운 기술도 공동개발하고 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