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의 평화ㆍ협력 상징성을 되짚는 DMZ 포럼에서 경기도형 남북교류 3대 방향이 공개된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해외 명사 등과 함께하는 자리에서 도민 참여의 남북교류, 서해경제공동특구 추진, DMZ 유네스코세계 유산 등재 등 과제를 선언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2019 DMZ 포럼’에서 이 지사가 기조연설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전할 것이라고 17일 밝혔다. 이와 관련, 오는 19~20일 킨텍스(고양시)에서 열리는 DMZ 포럼은 9ㆍ19 공동성명 1주년을 기념하며 도와 경기연구원이 마련했다. 냉전 시대의 마지막 유산인 DMZ를 평화와 협력의 상징으로 전환하기 위해 담론과 정책 토론의 장으로 진행한다는 복안이다.
우선 포럼에서 이 지사, 베트남 인권운동가 판티 킴푹, 미국의 평화운동가 글로리아 스타이넘이 기조연설에 나선다. 이 지사의 기조연설 주제는 ‘평화가 답이다. 평화가 길이다’이며, 경기도형 남북교류 3대 방향으로 ▲도민이 참여하고 혜택받는 남북교류 ▲서해경제공동특구 추진 ▲DMZ의 유네스코세계유산 등재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어지는 기조연설에 나설 판티 킴푹 여사는 베트남전 당시 폭격으로 등에 화상을 입고 옷을 입지 못한 채 공포와 고통에 질려 뛰어가는 사진의 여주인공이다. 판티 킴푹 여사는 이 사건 이후 겪은 트라우마와 평화운동가로 변신해가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다른 기조연사인 글로리아 스타이넘 여사는 2015년 전 세계 여성운동가들과 함께 DMZ를 북에서 남으로 넘어와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스타이넘 여사는 전쟁과 분단의 폭력성을 고발하고 한반도 평화가 세계평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포럼에서는 3개의 특별 세션(남북평화협력, 한반도 비핵화, 동아시아 다자협력)과 함께 경기연구원이 준비한 DMZ의 역사, 생태, 평화 등 6개 테마 11개 기획 세션에서 열띤 토론이 진행된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각 세션 대표가 참가해 논의 결과를 공유하고 실천과제를 도출하게 된다.
20일 폐회식에서는 포럼 참석자들의 뜻을 모아 DMZ 평화선언문을 채택한다. 선언문에는 향후 주요 실천과제로 DMZ 평화상(가칭) 제정 및 관련 기구 설립 등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포럼의 준비를 이끌어온 정동채 Let’s DMZ 조직위원장은 “이번 2019 DMZ 포럼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항구적 평화와 안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시점에 경기도가 평화의 여정을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의미 있는 도전”이라고 밝혔다.
한편 DMZ 포럼을 포함한 Let’s DMZ 행사 중 하나인 DMZ 페스타도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다. DMZ 페스타는 DMZ의 생태관광자원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된 축제다. 축제는 토크쇼, 전시, 퀴즈대회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도민을 맞이하게 된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