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문제, 대면·화상상봉 등 추진할 계획"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17일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22~26일) 참석을 계기로 한미정상회담을 갖는 것과 관련,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이후 소강 국면을 보였던 협상 국면을 다시 재개하기 위해 시동을 걸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서대문구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제19기 부의장·협의회장 합동 워크숍 강연에서 “(한미·남북·북미관계) 세 가지가 서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때 전진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남북미 삼각관계에서는 역사적으로 (한미·남북·북미) 3개의 양자 관계가 서로 긴밀히 돌아갈 때 문제가 해결됐다”며 “하나가 잘 돌아가고 다른 게 잘 돌아가지 않을 때는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발전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교훈”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장관은 남북 관계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이산가족 문제를 거론한 뒤, “대면상봉, 상시상봉, 화상상봉, 고향방문을 동시에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최근 해소되지 않은 이산가족 문제를 놓고, “남쪽 정부든 북쪽 정부든 함께 잘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한 데 대해서는 “그만큼 시급하고 절박한 문제다. 상황에 대해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는 취지로 이해해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북한의 거부 의사로 준비 절차가 중단된 대북 쌀 지원과 관련, “세계식량계획(WFP)하고 북한의 업무협약이 미뤄지고 있다”며 “정부 입장에서는 WFP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그는 정부가 남북 평화 분위기에 맞춰 서해 5도 어장에서 1시간의 야간 조업을 허용한 것과 관련해 “평화정착의 수준을 고려해서 어로 시간도 좀 더 연장할 계획”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