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학교들이 지속해서 신도심으로 떠나면서 통학거리는 자꾸 멀어지고 있습니다. 원도심 학생들의 통학을 위한 대중교통도 열악한데 인천시교육청에서 통학 버스 등을 지원할 수는 없나요?”
18일 오후 도성훈 인천시교육감과 함께한 ‘제2회 인천교육 광장토론회’에서 원도심에 사는 한 여학생이 손을 들고 이렇게 말했다.
한때 인천의 중심이던 중·동구 지역의 인구가 지속해서 줄면서 학교들이 송도국제도시 등 신도시로 이전하는 현상을 지적한 얘기다.
이에 대해 도 교육감은 “안타깝지만 학교 이전 문제는 인천의 도시발전과 인구 이동에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이전을 막을 수는 없다”면서도 “통학 버스 지원 등의 사안은 도서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데 중·동구에서 가능한지 확인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학생, 학부모 등 500여명이 참석한 이날 토론회는 교육 현장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자리인 만큼 학생 인권 향상이 교사들의 교권 침해로 이어지는 부분에 대한 고민도 나왔다.
도 교육감은 “학생 인권이나 교사의 교권 모두 인권 범주에 속하므로 적절히 조화될 수 있어야 한다”며 “시교육청과 마을교육공동체 등 지역 사회가 나서 이부분을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나가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정책 프로그램 확대, 급작스러운 유치원 폐원을 막을 수 있는 제도 마련, 특목고 등 학교 입시 제도 개선 등에 대한 치열한 토론이 오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날 제안한 의견을 취합해 관련 부서에서 타당성과 적용가능성 등을 검토한 후 오는 2020년 교육 정책 및 사업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