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수영 예산 거액 횡령 의혹 무색
2학기 들어 8개교 수영 강습권 따내
시교육청 “감사는 학교의 몫” 불구경
학교 “행정력 부족”… 관리사각 방치
회장의 횡령 혐의로 물의를 빚은 A협회가 인천시교육청이 혈세를 투입한 ‘학생 생존 수영’ 강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교육청은 생존 수영에 혈세를 투입하면서도 물의를 빚은 후 맺은 계약을 막지 않은 것은 물론 단 1번도 감사를 하지 않아 관리부실이란 지적도 나온다.
19일 시교육청과 업계 등에 따르면 회장이 횡령 혐의를 받는 A협회는 북부교육문화센터에서 1학기 부평 일대 10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수영 강습을 했고, 2학기에도 8개 학교와 계약을 맺어 수영 강습을 하고 있다.
A협회는 2018년 인천시에서 추진한 시민 안전 수영 예산 2억5천만원 중 수천만원을 횡령했다는 혐의로 지난 5월부터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
체육계에서는 비리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는 A협회가 ‘수의계약 결격사유’ 5번째 규정(물의를 일으키는 등 신용이 떨어져 계약 체결이 곤란한 경우)에 따라 자격이 제한돼야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A협회와 2학기 수영 강습 수의계약을 맺으려던 일부 학교는 5번째 규정에 따라 계약을 취소했다.
하지만 8개 학교는 지난 5월 문제가 불거진 이후에도 수의계약을 하는 등 A협회에서 수영 강습을 받고 있다.
시교육청과 달리 시는 A협회의 횡령 혐의 논란이 커지자 2019년 시민 안전 수영 예산 2억5천만원을 전액 삭감하는 등 대응에 나선 상태다.
시 교육청이 학생 생존 수영에 총 5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면서 제대로된 감사조차 하지 않은 점도 문제다.
지난 2014년부터 시교육청은 생존 수영 사업을 위해 각 학교에 학생 1인당 5만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예산이 어디에 쓰였는지, 학교에서 예산을 제대로 집행하고 있는지는 확인하지 않는다.
학교에서도 업체에 비용을 지급할 뿐 사업이 제대로 운영되는지 점검하지 않고 있다.
한 학교 관계자는 “우리는 시교육청에서 준 비용만 업체에 지급하지 따로 확인하지 않는다”며 “학교는 행정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따로 감사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A협회의 2학기 강습에 대해서는 법률 자문 등을 통해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각 학교에서 예산을 쓰기 때문에 감사와 확인은 학교의 몫”이라고 말했다. .
A협회 관계자는 “이미 올해 초부터 각 학교와 일정 조율을 통해 수의계약을 하기로 돼있던 부분”이라며 “문제를 일으킨 B회장 등이 검찰 조사를 받고 있지만 결과가 나오지 않아 기존 계약을 이행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