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이어 수도권 집값도 꿈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확대 발표 이후 서울 집값 상승이 경기도로 번지는 모습이다.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은 특히 교통 등 자체 개발 호재로 집값이 뛰고 있다. 광역급행철도(GTX)나 지하철 연장 등의 호재가 가격을 끌어올리는 형국이다.

2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9월 셋째 주 신도시와 경기도 아파트값은 각각 0.02%, 0.01% 올랐다. 한국감정원이 지난 19일 발표한 경기도 아파트값은 지난주까지 4주 연속 상승세다.

신도시는 동탄(0.05%), 위례(0.05%), 판교(0.04%), 광교(0.04%), 중동(0.03%), 평촌(0.01%) 순으로 상승했다. 이사철 영향으로 신도시 새 아파트에 신혼부부 등 실수요자의 매수세가 유입되는 분위기다.

경기는 과천(0.06%), 안양(0.06%), 성남(0.05%), 광주(0.05%), 광명(0.04%) 순으로 상승한 반면 안성(-0.06%), 평택(-0.05%), 이천(-0.05%), 고양(-0.02%) 등은 하락했다.

전세가격 역시 신도시와 경기도가 각각 0.04%, 0.02% 올라 전주 대비 오름폭이 다소 커졌다.

신도시는 동탄(0.12%), 광교(0.12%), 파주운정(0.09%), 위례(0.08%), 김포한강(0.07%), 판교(0.04%) 순으로 올랐다. 가을 이사철에 진입하면서 수도권 신도시 새 아파트에 대한 문의가 늘어난 분위기다.

경기는 의정부(0.09%), 안양(0.08%), 의왕(0.08%), 과천(0.07%), 화성(0.07%), 성남(0.05%) 순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군포(-0.06%), 안성(-0.05%), 하남(-0.04%) 등은 떨어졌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저금리 유동성 효과가 국내 주택시장에도 유입되는 분위기”라며 “10월에는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유동성 효과와 더불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새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서울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조짐”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전세시장은 추석 연휴 이후 가을 이사철이 본격화되면서 새 아파트와 중소형 면적을 중심으로 수요층이 유입되는 모습”이라며 “서울 강동구 등 입주물량이 많은 몇몇 지역을 제외하면 전세가격의 견조한 상승세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