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구리시, 이젠 행복도시로 가자

민선 7기 안승남 구리시장은 시정의 최우선 목표를 행복도시 구현에 목표를 두고 있다. 구리 시민 모두가 행복한 도시를 만들어 보겠다는 의지다. 하지만, 계층이 다양하고 복잡다난한 지금의 사회 구조를 전제할 때, 쉽지 않은 행보다. 서울의 주변, 또 남양주의 한쪽으로 떠밀려지고 있는 작금의 자화상을 감안하더라도 더더욱 그렇다.

구리시는 면적 등 자원이 많아 개발 잠재력이 풍부한 곳도 아니다. 공장 등 기업으로 생산성이 뛰어난 곳도 물론 아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체육 등 각 부분별 사이즈가 왜소하기 그지 않다. 대부분이 도내 31개 자치단체와 비교할 때 하위권이다. 인정하기 싫지만 이게 현주소다. 이런 도시에서 시민 행복을 실현하겠다는 안승남 시장이다.

최근 그는 행복지수 1위 나라인 부탄을 찾아 행복 요소를 벤치마킹했다. 그리고 행복 실현의 첫 단추로 8ㆍ8ㆍ8 정책(공직자 8시간 집중근무제)을 도입했다. 우선, 공직자부터 행복 실현의 전위대로 나서보겠다는 취지에서다. 행복이 이른바 부나 권력이 아닌, 사회적 제도와 구조에서 찾고자 하는 의지 일환인 셈이다.

이는 안 시장 혼자만으로는 결코 불가능하다. 공직자나 시민사회 단체의 힘이 한 곳으로 모아져 시민 동력을 만들어가야 한다. 이 동력이 시민행복 운동에 투영될 때 비로서 행복한 시민, 행복한 도시가 될 수 있다.

그런데, 구리시의 현주소는 어떤가. 행복 선장격인 안 시장을 놓고 흔들어대는 모습이 선을 넘어서고 있다.

자칭 시민단체라는 데가 허위사실 유포를 전제한 뒤, 책임 여부를 묻는 설문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의 추진과정이나 상황 등 진위 여부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설명없이 설문을 진행, 다분히 의도적 설문이란 오해까지 낳고 있다. 이 뿐 아니다. 지역 내 일각에서는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사업과 관련, 무슨 무슨 폭로성 발언까지 나돌고 있다. 이 모두 다음달 항소심 판결을 앞두고 있는 안 시장을 겨냥하는 겁박성 행위라는게 일반적 시각이다. 선거법과 연루된 안 시장의 거취는 법의 판단에 맡기면 된다. 1심에서 무죄를 받긴 했지만 최종적 위법성 시비 탈출은 안 시장의 몫이다. 이제 싸움은 그만하자. 과거 전임 시장 동안 맺혔던 공직 내부나 시민 사회단체 간 갈등은 이제 옛 말이 돼야 한다. 행복한 도시를 실현하는데 있어 전제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 동력 찾기를 안승남 시장에게 한 번 맡겨 보자.

구리=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