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는 236명… 강원 82명 최저
17개 시·도 평균 159명 담당
경기도가 전국 17개 시·도에서 공무원 1인당 가장 많은 주민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용인을)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2018년 전국 지방자치단체별 공무원(일반·특정·정무·별정직) 1인당 주민 수’ 자료에 따르면 공무원 1인당 평균 담당 주민 수는 159명이었다.
이 중 경기도는 공무원 1인당 담당 주민 수가 무려 236.2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경기도의 경우 총 5만 4천864명(본청 1만 1천978명, 기초자치단체 4만 2천886명)의 공무원이 총 1천296만 2천945명의 주민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인천광역시(201.6명), 대전(192.01명), 서울(189.67명), 대구(189.2명), 광주(182.29명), 울산(179.36명), 부산(178.32명), 세종(164.25) 등의 순이었다.
또한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강원, 제주 등 8개 도의 공무원들은 전국 평균보다 적은 주민들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공무원 1인당 주민 수가 가장 적은 강원도(82.24명)와 3배 가량 차이를 보였다.
도내 기초자치단체들의 공무원 1인당 평균 담당 주민 수는 270.06명이었으며 고양시가 372.33명으로 가장 많았다. 또 용인시(370.51명), 수원시(368.66명), 의정부시(357.81명), 김포시(357.50명), 부천시(346.55명), 시흥시(346.06명), 남양주시(344.68명), 성남시(343.93명)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공무원 1인당 담당 주민 수가 가장 적은 곳은 연천군(68.63명)으로 고양시와 무려 5.43배가량 차이가 났다. 가평군 역시 95.25명으로 100명을 넘지 않았고 과천시(113.12명), 여주시(123.31명), 양평군(137.10명), 동두천시(148.78명), 포천시(162.56명), 안성시(201.98명), 이천시(204.65명), 양주시(232.12명), 의왕시(250.18명), 평택시(256.88명)도 도내 평균보다 적었다.
김 의원은 “지자체의 기능을 강화하고 행정 비효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정 공무원 수에 대한 정책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