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링’ 횡단 방지시설 직격탄
미추홀 400m·부평 110m 등
철거후 복구 지연 사고위험
인천지역 지방자치단체가 13호 태풍 ‘링링’으로 훼손된 무단횡단 방지 시설을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방치하고 있어 무단횡단 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
23일 인천지역 지자체 등에 따르면 지난 7일 인천을 강타한 태풍 ‘링링’으로 인천 내 무단횡단 방지 시설의 684m 구간이 부서졌다.
군·구별로는 미추홀구 약 400m, 부평구 110m, 서구와 남동구 각 60m, 연수구와 강화 각 20m, 중구 14m 거리에 설치한 무단횡단 방지시설이 망가졌고, 군·구는 시설물을 철거했다.
무단횡단 방지 시설은 상·하행 도로 중간(중앙선)에 설치한 약 1m 높이의 시설물로 무단횡단이 빈번한 지점에 집중적으로 설치한다.
무단횡단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훼손 직후 방지 시설을 보수·복구 해야 했지만, 20여일이 지나도록 복구하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다.
실제로 23일 오후 미추홀구 보훈병원 인근 훼손 구간에서는 길 건너 편의점을 이용하려는 행인들의 무단횡단이 이어졌다.
1시간 동안 무단횡단을 하는 행인만 5명이 넘었다.
이처럼 시설물 훼손으로 인한 무단횡단이 잇따르고 있지만 각 지자체는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복구에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미추홀구는 100m 구간의 복구를 마쳤지만, 나머지 구간 복구는 1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총 복구 예산이 4천만원(1m당 10만원)인데, 재난에 대비한 예비비가 부족해 예산집행이 늦어진다는 이유다.
서구·남동·연수구는 태풍으로 인한 다른 시설물 피해복구에 집중하고 있어 방지 시설 재설치는 뒷전이다.
결국 방지시설 복구 지연이 무단횡단 사고로 이어질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인천에서는 2018년 무단횡단 사고가 321건이고, 사망자는 21명이다.
올해 8월까지 무단횡단 사고도 202건, 사망자만 17명에 달해 무단횡단 방지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교통관련 부서의 한 경찰은 “최근 무단횡단 사고가 급증하고 있어 방지시설 재정비가 빠르게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무단횡단은 시민 의식도 중요하지만, 방지 시설 역시 중요하다”고 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태풍에도 견디는 방지시설을 훼손된 곳에 재설치 하기 위해 논의하다보니 늦어진 것”이라며 “조속히 복구해 시민들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