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사건 이후… 지휘부에도 보고
혈액형·족적 달라 수사 선상 제외
화성연쇄살인사건의 유력 용의자로 지목된 A씨(56)가 과거 사건 발생당시에도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되며 수사선상에 올랐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경찰 등에 따르면 당시 경찰이 A씨를 화성사건의 용의자로 추정한 시기는 6차 사건이 발생한 이후이다.
6차 사건은 1987년 5월9일 오후 3시 화성시 태안읍 진안리의 한 야산에서 주부 P씨(당시 29세)가 성폭행당하고 살해된 채 발견된 사건이다.
이 사건 발생 이후 경찰은 탐문ㆍ행적조사 등을 통해 A씨가 용의자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A씨를 조사했다.
특히 경찰은 주민 진술 등을 통해 얻은 첩보 등을 근거로 “A씨가 유력한 용의자로 판단된다”고 지휘부에 보고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얼마되지 않아 A씨는 수사 선상에서 제외됐다. 당시 과학수사 기술로는 6차 사건 현장에서 확보한 체액 등 증거물이 A씨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고, 6차 이전 사건에서 확보한 증거물을 통해 추정한 용의자의 혈액형과 A씨의 혈액형이 달랐고 족적(발자국) 또한 달랐기 때문이다.
이전까지는 혈흔을 분석해 혈액형을 파악하는 정도의 기술을 수사에 활용했는데 결정적으로 이를 통해 당시 경찰이 추정한 용의자의 혈액형은 B형이었지만, A씨는 O형이었다.
경찰은 이후에도 8차 사건과 10차 사건이 일어난 뒤 2차례 더 A씨를 불러 조사했지만, 그 당시에도 혐의 입증에는 실패했다.
이후 A씨는 마지막 10차 사건 이후 2년9개월이 지난 1994년 1월 처제를 성폭행하고 살해한 혐의로 검거돼 부산교도소에서 무기수로 복역 중이다. 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