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국제사회 호응… 한반도 비핵화 여정에 중요한 모멘텀”
한국·바른미래당 “북한 바라기 대북정책… 속 빈 연설” 평가절하
정의·민주평화 “평화프로세스 진전시킬 지혜로운 제안” 긍정평가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비무장지대(DMZ)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자’는 내용의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한 것과 관련, 25일 여야 정치권의 반응이 크게 엇갈렸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한반도 평화의 길을 열었다”며 긍정 평가했지만,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북한 바라기 대북 정책”,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연설인가”라며 혹평했다.
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문 대통령이 UN총회 연설을 통해 국제사회가 함께 한반도 평화에 협력할 것을 제안함으로서 북미대화의 동력은 물론 이를 뒷받침하는 국제사회의 호응을 얻는 성과를 얻었다”면서 “국제사회가 함께 만드는 한반도 평화의 길을 열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민주당은 문 대통령의 외교적 성과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의 여정에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쟁불용, 상호안전보장, 공동번영의 원칙 위에서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한반도 평화의 물길을 더 크고 깊게 내는 일에 전력을 다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반면 한국당 김명연 수석대변인(안산 단원갑)은 논평에서 “문 대통령은 국제사회를 향해 북한은 단 한 번도 9·19 선언을 위반하지 않았고 ‘DMZ’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고 북한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여지없이 국민의 기대를 저버렸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문재인 정부의 북한 바라기 대북정책은 북한의 비핵화가 아니라 대한민국을 향한 북한의 무시와 모욕, 안보 위협으로 이어졌음을 모든 국민들은 분명하게 지켜봤다”면서 “어제의 맹탕 한미정상회담에 이어 오늘의 속 빈 유엔 기조연설은 국민에게 어떠한 신뢰도 보여주지 못했다”고 평가절하했다.
바른미래당 최도자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북한의 잘못을 지적하지 못한 채 북한의 체제보장의 필요성만을 강조했다”며 “도대체 누구를 위한 연설이고, 무엇을 위한 연설인지 분별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이어 “평화만을 강조하며 문제를 지적하지 못한다면, 한반도의 평화가 찾아오는 시간은 더 멀어질 뿐이다”면서 “북한에 대한 잘못된 환상을 버려야 제대로 된 평화를 꿈꿀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에 비해 정의당과 민주평화당은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을 긍정평가했다.
정의당 유상진 대변인은 ‘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 조성’에 대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진전시킬 수 있는 지혜로운 제안이다”고 밝혔으며, 민주평화당 박주현 수석대변인도 “비무장지대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드는 제안에 적극 지지하며 실질적인 추진을 위한 남북간의 진전된 노력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