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낮없는 ‘살처분’… 묻히지 않는 ‘트라우마’
“구제역 당시는 생각하고 싶지도 않아요. 생매장한 곳 옆에 천막에서 지냈는데 밤이면 돼지들이 살겠다고 안에서 우는 소리가 들리고 했어요.”
지난 2010년 겨울부터 2012년 봄까지 인천을 포함해 전국 11개 시·도 75개 시·군·구를 강타한 구제역은 살처분을 관리 감독했던 공무원에게 큰 트라우마를 남겼다. 당시 돼지를 살처분한 곳을 지키며 밤을 샜다는 A씨는 “당시에는 포크레인으로 살아있는 돼지를 구덩이로 밀면 자기들 무게에 눌려 죽었다”며 “살아있는 돼지들은 살겠다고 올라오다가 바닥에 깔아놓은 비닐 등을 다 찢어버려서 물도 새고 지켜보기가 힘들었다”고 했다.
하지만 현장 공무원의 트라우마는 누구도 책임져주지 않았다. 공무원 B씨는 “자기가 직접적으로 트라우마를 앓고 있다고 밝힌 사람은 없었죠. 하지만 공무원 사회 내부에서는 이러다가 트라우마에 걸릴 것 같다는 이야기가 공공연히 떠돌았어요”라며 “하지만 이런 것들에 대한 지원은 전무했죠”라고 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이 창궐한 강화지역의 전체 돼지에 대한 살처분을 승인하면서 현장을 관리 감독하는 공무원의 트라우마를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현재 강화지역 3만8천마리 돼지를 살처분 하고있다. 현재 1만여마리가 넘는 돼지를 살처분했고, 오는 10월5일까지 남은 2만8천여마리를 살처분 할 계획이다. 현재 살처분 대상 농가 1곳 당 보건환경연구원·축협 직원 등 모두 5명씩 투입, 약 150여명을 투입한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주야간 쉴틈없이 많은 양의 돼지를 살처분하는 탓에 설처분 관리감독을 하는 공무원의 노동강도가 큰 것은 물론, 이들에 대한 트라우마 치유 방안도 시급하다.
최근 국가인권위원회도 시에 가축 살처분·매몰 작업 참여자 심리 지원을 위해 살처분 작업 참여자에게 심리적, 정신적 치료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의무적으로 안내하고, 고위험군을 조기발견하고 치료 신청을 독려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함태성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살처분 작업이 트라우마로 남지 않으려면 살처분 작업을 한 후 초기에 상황이 마음속 깊이 각인되지 않도록 하는게 필요하다”며 “공무원이 자신이 트라우마을 앓고 있다며 심리상담을 신청하는 것에만 기대지 말고 정부 차원에서 살처분 작업에 참여한 직원을 대상으로 상담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