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한국보단 일본이 더 큰 경제 손실을 보고 있다는 데 ‘혹 떼려다가 혹 붙인 꼴’ 아닌가요”
일본이 수출규제 등 한국에 연일 공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이 같은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가 한국보다는 오히려 일본에 더 큰 타격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7∼8월 한국의 대(對)일본 수출 감소율은 -3.5%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일본의 대한국 수출 감소율은 한국의 두 배가 넘는 -8.1%로 조사됐다.
앞서 일본은 7월 4일부터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의 대한국 수출을 포괄허가에서 개별허가로 전환했다.
이에 지난 3개월 동안 한국으로 개별수출이 허가된 것은 불화수소 1건,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1건, 포토레지스트 3건 등 5건이다. 반도체 업계가 주로 사용하는 액체 불화수소(불산액)는 단 1건의 수출허가도 나지 않았다.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글로벌 통상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일본이 3위 수출국인 한국으로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자국의 수출을 더욱 줄이는 악수를 둔 셈이다. 실제로 수출 규제 이후 한일 양국 전체 수출에서 상대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오히려 한국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전체 수출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6월 6.3%, 7월 6.6%, 8월 6.9%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5.1%, 5.5%, 5.1%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지난달 한국 수출은 10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갔지만, 회복의 신호도 감지됐다. 무역수지는 59억 7천만 달러 흑자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하며 92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하루 평균 수출도 21억 8천만 달러로 올해 들어 최고 기록을 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