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숲 속 공장 프로젝트’가 있다. 경기도가 지난 3월부터 시작했다. 기업이 사업장 안팎에 나무를 심는 운동이다.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자체 정화하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2021년까지 도내 모든 사업장을 참여시켜 21만 그루를 심겠다고 했다. 올해는 121개 기업이 도와 협약을 체결했고 1만3천602그루의 나무를 심는 목표를 정했다. 경기도가 중간 점검을 했더니 성과다 좋다. 110% 초과 달성됐다.
도에서 부지런히 독려를 했을 것이다. 기업이 적극 참여했을 것이다. 눈앞의 성과를 높이 평가한다. 이 프로젝트는 반드시 해야 할 생존 프로젝트다. 미세먼지 절감을 위한 중장기적 투자다. 소나무, 삼나무, 전나무, 느티나무 등의 잎은 미세먼지를 흡착ㆍ흡수하는 기능이 뛰어나다. 가지ㆍ줄기에는 지상으로 가라앉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한번 조성해 놓으면 스스로 조절해주는 도심 청정기 역할을 할 수 있다.
나무 1그루가 연간 35.7g의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도시 숲 1㏊가 연간 168㎏에 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유럽 제국에서는 이미 도시에 적용해 정착 단계에 들어선 정책이다. 대표적으로 독일의 슈투트가르트 지역 내 총 길이 8㎞, 면적 100㏊에 달하는 숲을 조성했다. 2014년 연간 10회였던 미세먼지 고농도 일수가 2017년 3회로 감소했다. 미세먼지에 목숨을 내맡기고 살아가는 세대인 만큼 그 필요성이 더 없다.
조언한다면, 이 운동의 범위와 대상이 더 넓혀졌으면 한다. 경기도에는 굴뚝 공장이 많지 않다. ‘숲 속 공장 프로젝트’만으로는 미세먼지 저감의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도심 전역을 푸르게 가꾼다’는 확장적 정책 변화를 기하면 어떨까 싶다. 70년대 산림녹화를 경험했던 우리다. 세계가 놀랄만한 성과를 기억하고 있다. 그때 산림녹화는 산을 살리자는 거였다. 지금의 도심 녹화는 사람을 살리자는 운동이다.
유사한 정책이 있었다. 민선 2기 등에서 실시됐던 도심 녹화다. ‘1억 그루 나무 심기 운동’ ‘도심 옥산 녹화 지원 사업’ 등을 했다. 실패했다. 그 이유는 범도민 운동으로 나가지 못해서였다. 관련 부서와 녹지재단의 특색 사업 정도로 여긴 게 패착이었다. 이재명호 경기도가 ‘범도민 운동’으로 의지를 보이면 얼마든지 성공할 수 있다.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도 기대할 수 있는 일이다. 검토해 봄이 좋을 듯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