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단국대 산학협력단에 바이오 중심 연구용역
첨단산업 주요기업 삼성·LG 등 도내 집중 피해 우려
수출규제 피해 예측 분석·적절한 대응방안 모색
경기도의회 송한준 의장(더불어민주당ㆍ안산1)이 일본의 경제침략에 대응할 과학기술정책 발전방안을 직접 모색하고 나섰다. 송 의장은 연구용역을 통해 일본 화이트 국가(수출관리 우대조치 대상국) 제외 관련 상황 파악, 대응방안에 대한 정책조사를 비롯해 과학기술정책 재정립을 바이오산업 중심으로 제시할 방침이다.
2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는 단국대 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오좌섭 교수)을 연구용역수행기관으로 지정하고, 총 2천만여 원을 투입해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간 관련 연구용역을 수행한다.
이번 연구용역의 과업명은 ‘일본의 화이트국가 제외 조치에 따른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재정립 방안(경기도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이다.
도의회는 일본의 화이트국가 제외에 따른 경기도 바이오산업 영향 분석과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재정립(안) 제안을 통한 경기도 바이오산업 육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번 연구용역을 실시한다. 단국대 산학협력단은 소재·부품 국산화 분야의 경우 중앙정부 차원에서 큰 관심을 두고 관련 정책을 수립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바이오분야에 집중하기로 했다. 책임연구원인 오좌섭 교수 역시 바이오·의료 분야 최고전문가인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의 화이트국가 제외 대상품목 중 바이오산업 관련 품목 조사 ▲경기도 바이오산업 현황 파악 ▲일본의 화이트국가 제외에 따른 영향 분석 ▲경기도 바이오산업 기회 및 위기 요인 도출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및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재정립 방안 제시 등을 연구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문헌연구와 통계자료분석, 도내 바이오산업 관련 기업인 및 전문가 심층인터뷰, 전문가 의견수렴 등이 동원된다.
이번 연구용역은 송 의장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 실시됐다. 송 의장은 앞서 지난 8월2일 일본 정부가 한국을 화이트국가 명단 제외 조치를 발표하자 “수출 규제 품목에 대한 관련 기술이 개발은 됐지만 상용화로 접목시키는 것까지는 시간이 걸리게 된다”면서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최근 선정된 안산시의 R&D거점지구인 한양대 에리카캠퍼스(안산시)를 비롯해 광교(수원시), 판교(성남시)에는 첨단산업과 관련한 벤처기업이 많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과학기술정책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번 기회에 도 차원의 과학기술정책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아울러 송 의장은 “도 전체 예산에서 경제분야 비중이 2%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라면서 내년 예산안 수립 과정에서 과학기술정책 분야 예산의 대폭적인 증액 필요성도 언급하기도 했다.
경기도는 수원ㆍ이천ㆍ용인 등에 첨단산업 주요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이 자리 잡고 있어 규제 조치로 인해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이다.
이와 관련 도의회 관계자는 “이번에 착수되는 연구용역으로 일본의 수출규제가 본격화될 경우 예상되는 피해를 정확하게 예측 분석하고, 도 차원의 적절한 대응방안 등을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연구용역 결과를 통해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예산도 적극 편성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