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해·불은면 등 농장 5곳 확진
지역내 39곳 예방적 살처분 마쳐
양돈산업도 사실상 전멸 위기
市, 보상금 등 13억 투입 계획
인천 강화군의 돼지 씨가 말랐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에 따른 살처분 조치가 모두 끝났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로 돼지 씨가 마른 강화에서는 양돈산업을 다시 찾아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2일 인천시와 강화군에 따르면 9월27일부터 시작한 강화 내 돼지농장 39곳의 돼지 4만3천600마리에 대한 살처분을 이날 모두 끝냈다.
앞서 지난 9월 24~27일 강화 송해면·불은면·삼산면·강화읍·하점면의 농장 5곳에서 ASF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후 시와 군은 ASF 확산을 우려해 강화 내 모든 돼지를 대상으로 하는 예방적 살처분을 결정했다. 현재까지 예방적 살처분 돼지를 대상으로 이뤄진 ASF 정밀검사 결과는 모두 음성이다.
시와 군은 앞으로 행정안전부로부터 받은 재난안전특별교부세 13억7천100만원을 살처분 보상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살처분 보상금을 비롯해 통제초소 운영비, 소독비 등 주요 방역조치 비용에 대해서는 국비 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시와 군은 지속적인 내부 협의를 통해 요청할 국비 지원 규모를 산정하고 있다. 다만, 살처분 작업에 들어간 비용에 대해서는 국비 지원을 요청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령’은 ‘살처분이나 가축의 사체 또는 오염물의 소각·매몰 및 소독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도록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로 강화의 돼지는 사실상 씨가 말랐다. 2010년과 2015년에 발생한 구제역으로 최대 3만마리를 살처분하는 과정에서도 명맥을 유지했던 강화 돼지가 완전히 사라진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강화 내 양돈산업의 몰락으로도 볼 수 있다. 2000년대 8만마리, 2010년대 5만마리에 이르렀던 강화 돼지가 2020년대 시작 전부터 전멸인 것이다. 농장주들도 다시 양돈산업에 뛰어들지 못하겠다는 입장이다. 살처분 장소 중 일부가 돼지를 사육하던 농장이거나 그 인근이기 때문이다. 일부 농장주는 ‘자신의 땅은 안 된다’라는 이유로 예방적 살처분을 거부하기도 했을 정도다.
강화의 한 농장주는 “돼지들을 묻은 땅에 어떻게 다시 돼지를 키우겠느냐”며 “다른 농장주들도 비슷한 마음일 것”이라고 했다.
시 관계자는 “ASF 확진 판정을 받은 농장과 그 인근 농장을 포함한 강화의 전체 농장을 대상으로 예방적 살처분을 했기 때문에 강화에 남아있는 돼지가 더는 없을 것”이라며 “강화의 양돈산업이 몰락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당분간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