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도는 송도 바이오프론트 조성

임상·인허가 업체 1곳에 불과
ITP 바이오산업센터 등 활용
중간조직 기능 권한 강화 필요

인천시가 추진 중인 바이오프론트 조성사업이 겉돌고있다. 바이오 사업체를 집적화하는 핵심인 바이오 임상 및 인허가 업체가 1곳뿐이기 때문이다.

이에 바이오 전문가들은 인천테크노파크(ITP) 바이오지원센터 등 중간조직의 권한을 강화, 바이오 임상 및 연구개발 업체를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2일 시와 ITP 등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송도의 90만809㎡부지에 바이오 의약품 생산, 연구개발, 서비스기업 기관을 유치하는 바이오프론트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 2018년 기준으로 송도 바이오프론트에 바이오 벤처 19개, 바이오 의약품 제조업체 11개 등 총 42개의 바이오 사업체가 입주했다.

하지만 바이오프론트 입주 업체 중 바이오 임상·인허가 업체는 찰스리버레보레토리즈코리아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이 국내 최대 바이오 의약품 제조 도시라는 점과 국내에 50개 임상시험기관이 있는데도, 바이오 임상·인허가 업체는 1곳 뿐인 셈이다.

바이오 임상·인허가 업체의 부족은 송도의 바이오 산업 경쟁력을 약화하는 원인으로 꼽힌다. 바이오 임상·인허가 업체는 바이오 벤처가 개발한 의약 시제품에 대한 임상 실험과 인·허가를 담당해 바이오 사업체를 집적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신경제연구원이 지난 2017년 발표한 ‘바이오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방안 연구’에도 인천 바이오프론트는 시제품 제작, 전·임상 인허가 단계 등의 영역에서 1점대의 낮은 점수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송도 바이오프론트에 대한 중앙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은 지역균형발전 등을 이유로 기대하기 힘들다.

이 때문에 바이오 사업체를 집적화하려면 ITP 바이오산업센터와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바이오분석지원센터 등 중간조직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ITP 바이오산업센터는 충북 오성에 조성 중인 바이오센터에 비해 인력과 예산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또 외국 바이오센터가 바이오 사업체 네트워킹, 자금 조달 및 투자 유치, 창업 활성화 등을 지원하는 것과 비교하면 인천의 바이오센터는 연구개발 지원에 국한해 있다.

서봉만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바이오 사업체들의 성장과 송도 바이오프론트의 성장을 연계하는 중간 조직 차원에서의 통합적 접근은 없다”며 “장기적으로 중간 조직의 기능과 전략을 전체적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바이오헬스 밸리를 조성하면서 바이오 임상 및 인허가 업체 육성, 바이오 사업체 집적화 방안이 담겨있다”며 “이 과정에서 중간 조직 개편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