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 의원, “금융당국, 실사 강화 등 투자 가이드 내릴 필요”
해외 부동산펀드 투자가 늘면서 금융당국이 업계에 안전망 구축을 주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지상욱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부동산펀드 투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상위 15개 운용사(부동산 펀드규모 순)의 해외펀드 401개 중 48%에 달하는 191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다.
반면, 상위 15개 자산운용사의 국내 부동산 펀드 총 353개 중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는 90여 개에 불과해 해외 부동산 펀드와 큰 차이를 보였다.
총 부동산펀드는 754개이며 해외 401개·국내 353개다. 총 부동산펀드 설정액은 89조 7천억 원이며, 해외와 국내가 각각 49조 1천억 원·40조 6천억 원이다.
지상욱 의원실은 해외 부동산펀드 투자 활성화로 배당 소득 등 투자 이득을 기대할 수 있지만 많은 문제점도 있다고 지적했다.
의원실에 따르면 해외부동산 투자는 상품 구조상 직접투자가 아닌 운용사, 판매사, 에이전시 등 여러 주체가 얽혀 회수불능 등의 문제 발생 시 운용사의 직접적인 관여가 어렵다. 또한 우리나라의 해외부동산 펀드 투자가 유럽국가에 편중돼 환율변동으로 인한 연쇄적인 금융 위험에 취약하고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무역 갈등과 국제분쟁에 따른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의원실은 설명했다.
지상욱 의원은 “유럽지역의 집중적 묻지마 투자는 해외 환율과 국제분쟁 같은 갑작스러운 해외 상황에 대처가 어렵다”라면서 “금융당국이 실사 강화 등 투자 가이드를 내릴 필요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내 투자사와 운용사에서 해외부동산 펀드 판매 경쟁이 벌어지면서 제대로 된 실사와 정보 확인 없이 깜깜이 투자를 진행한 사례도 있었다”라면서 “금융당국이 투자자의 원금 회수 불가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보상 대책과 투자사의 실사여부, 허위매물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안전대책망 업계에 주문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