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반등에 1개월 수익률 마이너스 진입
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국내서 운용 중인 펀드 자금 현황을 집계한 결과 지난 2일 기준 국내 채권형 펀드 275개의 설정액은 33조 6천816억 원으로, 최근 1개월간 5천611억 원의 자금이 순유출됐다.
연초 이후 10조 9천26억 원이 순유입됐고 최근 3개월간 2조 2천709억 원이 증가해 최근 채권형 펀드의 자금 유출세는 두드러진다. 펀드 유형별로는 한 달간 초단기채권(-3천111억 원), 회사채권(-2천억 원), 일반채권(-905억 원) 펀드에서 자금이 나가고 국공채권 펀드만 405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국내 주식형 펀드에는 최근 자금이 일부 유입됐다. 최근 한 달간은 8천576억 원의 자금이 이탈했지만 1주간만 보면 5천45억 원이 순유입됐다. 국내 채권형 펀드에서는 최근 1주간 662억 원이 빠져나갔다.
올해 채권형 펀드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한동안 자금이 몰리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도 증가했다. 금리 하락 기대감이 채권형 펀드 수요를 자극했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비례 관계여서 금리가 내리면 채권값이 올라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의 수익률이 확대된다.
실제로 금리 하락세가 이어지고 국내 증시가 부진한 흐름을 보이면서 국내 채권형 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평균 2.22%로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0.34%)보다 훨씬 크다. 최근 1개월 평균 수익률은 국내 주식형 펀드가 5.69%에 달해 손실권에 진입한 국내 채권형 펀드(-0.20%)를 추월했다.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 등으로 국내 증시가 9월 들어 상승세를 탔지만 국고채 금리는 지난 8월 줄줄이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서 반등한 영향이다.
최근 한 달간 해외 채권형 펀드 188개에는 4천680억 원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해외 채권형 펀드의 연초 이후 순유입 규모는 4조 5천52억 원이다. 지역별로는 북미 채권 펀드에 1개월간 2천141억 원이 들어왔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장기적으로 금리는 하락하겠지만 일본은행(BOJ)의 초장기 금리상승 용인 가능성 등 마찰적 요인도 존재해 한국의 장기 금리 하락은 경험적인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다”라고 말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