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돼지전멸 강화에 ‘특별교부금’

돼지열병 철저한 방역위해 5억 지원
살처분부터 보상까지 시간 단축 노력
백령도 의심 신고… 검사결과 ‘음성’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집중 발생한 경기 파주•김포지역의 모든 돼지를 수매•살처분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6일 오전 파주 지역에서 출하한 돼지가 인천의 한 도축장 내 계류장에 하역되고 있다. 조주현기자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집중 발생한 경기 파주•김포지역의 모든 돼지를 수매•살처분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6일 오전 파주 지역에서 출하한 돼지가 인천의 한 도축장 내 계류장에 하역되고 있다. 조주현기자

인천시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돼지가 전멸한 강화에 5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시는 ASF 방역활동 지원을 위해 강화군에 특별조정교부금 5억원을 교부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시는 또 중앙정부에 재난안전특별교부세 추가 지원을 요청할 방침이다.

조정교부금은 일선 군·구 간 재정력 격차 완화를 위해 시 세금 중 보통세 일부를 군·구에 배분해 주는 예산이다. 통상 90%는 군·구에 미리 배정해 일반재원으로 사용하지만, 10%는 특별조정교부금으로 시가 보유하고 있다가 군·구에 특별한 재정수요가 발생할 때 지원한다.

앞서 지난 9월 말 행정안전부는 강화에 ASF가 확산하자 재난안전특별교부세 15억원을 교부했다. 군은 이를 우선 투입해 소독과 살처분 등 방역활동을 했다.

그러나 시는 강화의 방역지역이 워낙 넓은 데다 피해규모도 커서 방역활동에 필요한 예산이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 특별조정교부금 5억원을 더 지원했다.

또 시는 시비로 처리하는 방역 활동비와 다르게 살처분 보상금은 국비로 지원한다는 점을 고려해 중앙정부의 협조를 이끌어 낸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시 관계자는 “중앙 정부에 적극적인 협조를 이끌어 낸 살처분 시점부터 보상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줄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지난 4일 인천 옹진군 백령도에서 60일 지난 새끼돼지 7마리가 폐사하는 등 ASF 의심 신고가 들어왔으나, 정밀점사 결과 음성으로 나왔다. 방역당국과 옹진군은 신고 접수 직후 이 농장에 초동방역팀을 보내 사람·가축·차량의 이동을 통제하고, 주변과 하천 등지에도 소독 등 긴급 방역조치를 했다. 또 ASF 차단을 위해 양돈농가 담당관제(2개반 6명)를 운영하며, 매일 임상예찰 확인 및 방역지도 등 24시간 비상근무를 하고 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