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실무협상 결렬에 속타는 靑… ‘대화동력 유지’ 집중

청와대가 스웨덴 스톡홀롬에서 열린 북미 간 비핵화 실무협상이 결렬된 것을 놓고, 향후 대책을 강구하는 등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7개월 만에 비핵화 실무협상에 나섰지만,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종료된 만큼, 문재인 대통령의 북미 간 ‘중재자’ 역할이 기로에 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북한과 미국은 5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외곽의 컨퍼런스 시설인 빌라 엘비크 스트란드에서 김명길 순회대사와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특별대표를 수석대표로 한 실무협상을 열었다.

김 순회대사는 회담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협상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결렬돼 불쾌하게 생각한다”고 말한 반면 모건 오테이거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져갔으며 북한 카운터파트와 좋은 논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결국 이번 실무협상도 비핵화를 둘러싼 양국의 간극을 좁히지 못하고 ‘노딜’에 그친 것이다.

이를 놓고 청와대는 이번 실무협상이 이뤄진 것 자체에 ‘북미대화 재개의 시작’이라고 의미를 부여하며 대화 이후에도 동력을 살려가는 데 힘을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물밑에서는 이번 결렬로 인해 다시 협상이 교착상태로 빠져드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도 퍼져가고 있다.

이번 실무협상 결렬 원인과 관련, 일부에서는 최종단계를 포함한 완전한 비핵화에 대해 ‘포괄적 합의’를 우선해야 한다는 미국의 입장과, 영변 핵시설 폐기를 출발점으로 ‘단계적 합의’를 통해 신뢰를 다져나가야 한다는 북한의 생각이 평행선을 그린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일부에서는 이번 협상 결렬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11월 부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 여부 등 남북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이에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부산 방문 가능성에 대해서는 언급을 삼가며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비핵화 협상이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면서,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언급한 비무장지대(DMZ)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포함, 남북관계 발전 노력에도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