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정혁기
출연: 엄태구, 이혜리, 김희원 등
줄거리: 과거의 실수로 체육관에서 허드렛일을 하며 살아가던 전직 프로복서 병구(엄태구)가 자신을 믿어주는 든든한 지원군 민지(이혜리)를 만나 잊고 있던 미완의 꿈 '판소리 복싱'을 완성하기 위해 생이 가장 무모한 도전을 시작하는 이야기를 담은 코믹 휴먼 드라마.
단편에서 장편으로…잊혀지고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해
영화 '판소리 복서'는 '뎀프시롤:참회록'이라는 단편영화에서 출발했다. 단편에서는 '판소리 복싱'이라는 소재가 주는 웃음에 주안점을 뒀다면, 장편에서는 판소리와 복싱, 유기견, 재개발, 필름사진 등 잊혀지고 사라져가는 것을 이야기한다. 정혁기 감독은 "배우 조현철과 학교를 같이 다녔다. 누군가 장구 장단을 치고 있을 때, 복싱을 배우던 조현철이 장난 삼아 섀도우 복싱을 했다. 그 모습이 재밌어 단편으로 찍게 됐고, 그 후 장편으vks로 확장한 것"이라며 "단편에서는 미안한 마음을 주제로 찍었지만, 장편에선 정서나 주제를 좀 더 확장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어리숙한 병구, 원인은 펀치드렁크?
'판소리 복서'를 관람하기 전 '펀치드렁크'에 대해 알고 있다면 훨씬 재밌게 감상할 수 있다. 영화 속 병구는 '판소리 복싱'을 할 때면 진지하고 열정 넘치는 프로 복서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때론 어리숙하고 엉뚱한 모습으로 관객들의 궁금증을 유발한다. 이건 그의 진짜 모습이 아닌 '펀치드렁크'라는 병 때문. '펀치드렁크'는 뇌에 많은 손상을 입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뇌세포손상증으로, 복싱 선수들이 많이 앓는 증상 중 하나다. 기억상실, 인식장애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병구의 갑작스럽고 다소 엉뚱해 보이는 행동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된다.
'판소리 복서'의 히든 카드는 바로 'OST'
영화는 제목 그대로 들으면 절로 중독되는 판소리 OST가 영화 전면에 깔려 있다. 영화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어깨를 들썪이게 만드는 OST의 정체는 바로 판소리 수궁가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장영규 음악감독이 작곡하고 정혁기 감독이 작사, 젊은 소리꾼으로 유명한 안이호와 권송희의 가창이 어우러진 이색적인 판소리 OST의 탄생이다. 여기에 극중 병구의 필살기인 '판소리 복싱'이 더해지면서 영화는 그동안 보지 못한 신세계를 보여준다. 휘모리 장단에 맞춰 스텝을 밟고 팔을 휘두르는 등 단순히 힘과 기술로 승부하는 복싱의 한계를 뛰어넘은 '판소리 복싱'은 흥과 한을 녹여낸 동작들을 더해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준다.
개봉: 10월 9일
장영준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