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중장년 계층의 안정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규 사업 ‘5060이음 일자리’를 추진한다. 도는 50ㆍ60세대를 고용한 기업들에 고용 장려금을 지원, 중장년 계층과 기업 간 ‘윈윈’을 이끈다는 구상이다.
8일 도에 따르면 도가 올해부터 진행하는 ‘5060이음 일자리’는 조기 퇴직 이후 새로운 인생을 설계하는 도내 50ㆍ60 중장년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해 마련됐다. 안정적 일자리를 제공하면서 중소기업의 인력 미스매칭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사업은 5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중장년 도민 200명을 선발, 도내 근로자 수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제조업, 정보통신서비스업, 보건복지서비스업 등)에 취업을 매칭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에 적극 대응하는 차원에서 도내 피해 기업을 우선 선발해 지원한다.
도는 안정적 노동환경 지원을 위해 50ㆍ60세대 고용 중소기업에 인턴 3개월, 정규직 3개월 등 최대 6개월분의 고용장려금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우선 인턴 기간 3개월간 고용장려금을 전액 지원하고, 이후 평가를 거쳐 정규직으로 전환한 후 6개월간 고용을 유지할 경우 3개월분의 장려금을 추가 지원하게 된다. 또 중장년 구직자의 직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참여기업에 자체 및 타 기관 직무관련 교육을 지원하고, 면접ㆍ이력서작성 방법 등 구직자가 꼭 알아야 할 사항들에 대한 취업컨설팅도 실시한다.
이와 관련해 도는 10일 오후 2시부터 경기도여성능력개발본부(용인)에서 도내 근로자 수 300인 미만 기업들을 초청해 ‘경기도 5060 이음 일자리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는 사업 추진방향, 목적, 세부추진 계획 등을 설명해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신중년 세대 및 기업 모두가 서로 원하는 일자리 및 인력을 발굴, 산업 현장에서의 일자리 미스매칭을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장년 일자리 창출과 관련,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지난달 24일 성균관대역에서 ‘2019 경기도 중장년 일자리박람회’를 개최한 바 있다. 당시 현장 면접에는 총 45개 도내 기업이 참여했으며, 600여 명의 인력이 채용됐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