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원과 용인 등 경기남부권 지자체의 산업재해ㆍ사망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안전보건공단 경기지역본부는 사망사고 감소를 위한 긴급대책을 통해 산재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방침이다.
8일 안전보건공단 경기지부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경기남부권 내 수원과 용인, 화성, 평택, 안성, 오산 등 6개 지자체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자 수는 4천788명으로 지난해 7월 대비 11.17%(487명) 늘었다. 또 산업재해 사망자 수 역시 7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82%(3명) 많아졌다.
특히 이 같은 상황 속 대다수의 사망자는 건설업에 몰려 있었으며, 건설업 중에서도 추락 위험에 집중돼 있었다. 전국 통계로 봤을 때 건설업이 전체 사망자의 49.2%로 절반 수준이었다. 건설업 사망자 사유로 보면 추락이 80%로 가장 많았다.
이에 안전보건공단 경기지부는 지난 7월 17일부터 산업현장에 현장점검단을 불시에 파견하는 등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파견된 점검단은 지역을 순찰하며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사업장을 임의로 선정, 점검한다.
이들은 3대 핵심위험인 추락ㆍ끼임ㆍ질식에 대한 점검을 집중적으로 실시, 안전조치가 불량한 사업장을 적발하면 고용노동부에 감독을 요청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공단은 현재까지 총 2천340곳에 대한 현장 점검을 진행했으며, 점검이 마무리되는 오는 31일까지 2천500여 곳의 현장을 점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단은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시민안전페스티벌을 개최하는 등 사망사고 감소를 위한 다양한 홍보활동도 추가로 계획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 경기지부 관계자는 “고용노동부와 공단은 반복되고 있는 산업현장 사망사고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특단의 조치로 사망사고 감소 100일 긴급대책을 마련해 실시하고 있다”며 “불시 점검 시 안전조치 불이행 등이 발견된다면 작업자와 사업장에 대한 행정조치 등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월 기준 전국 사업장 수는 257만 8천703개소로, 근로자 수는 총 1천854만 7천8명이다. 경기남부에는 18만 1천350개소의 사업장과 153만 8천278명의 근로자가 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