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다음 달 인재영입위·선거기획단 발족 예정
내년 4월 총선이 6개월 앞으로 바짝 다가온 가운데, 여야가 21대 총선 승리를 위해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선거가 문재인 정부 반환점을 도는 시점에 치러지는 만큼 여야 모두 총선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거두기 위해 총력전을 펼칠 전망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총선 패배가 ‘레임덕’과 직결될 수 있다는 우려감 속에 오는 21일 대부분 상임위원회의 국정감사가 끝나는 대로 본격적인 선거 채비에 돌입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이해찬 대표가 직접 위원장을 맡는 인재영입위원회와 선거전략의 청사진을 꾸릴 선거기획단 등을 다음 달 발족할 예정이다. 선거기획단 산하에는 선거공약기획단을 하부조직으로 둘 예정이며 민주연구원과 정책위원회, 당 사무처 등이 머리를 맞대고 광역·세대별 공약을 구상한다.
이와 함께 당 핵심 인사들이 참여하는 총선 핵심 공약 논의 기구를 별도로 구성, 당이 제시할 비전이자 슬로건이 될 이른바 ‘전략공약’을 내놓을 방침이다.
하지만 민주당이 총선에 대한 장밋빛 전망만 내놓는 것은 아니다. 조국 법무부 장관 이슈가 언제든 총선 판도를 좌우할 수 있고,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와 정당 지지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자유한국당 내 계파 갈등이 공천룰 논의 과정에서 얼마든지 터질 수 있고, 민주평화당과 바른미래당까지 분당 수순에 돌입할 가능성이 큰 만큼 일단 ‘단일대오’ 유지에 힘쓸 방침이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7월 일찌감치 총선 공천룰을 확정해 내홍의 ‘뇌관’을 제거했으며, 도전자들이 차분히 선거를 준비하도록 토대를 마련했다.
제1야당인 한국당 역시 ‘좌파정권 심판론’을 앞세워 총선 승리와 오는 2022년 정권 탈환의 교두보를 만들겠다는 기치 하에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특히 지난 2017년 조기대선에 이어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맛본 참패의 고리를 끊어내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 이후 무너진 보수의 재건을 총선 승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우선 과제다.
다만 한국당 지도부는 시스템 공천을 위해 일찌감치 룰을 확정 지은 민주당과 달리 공천룰과 관련한 공개적 논의를 지양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당은 당 신정치혁신특별위원회가 지도부에 보고해놓고 있는 공천 심사 시 정치신인에 50%, 청년·여성에 40%의 가산점을 부여하고 중징계나 탈당, 공천 불복 전력이 있는 현역 의원에 최대 30%의 감점을 부여하는 등의 ‘대대적 물갈이’를 검토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섣불리 대대적 물갈이를 예고했다가는 현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큰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조 장관을 놓고 여당과 주도권 싸움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단일대오가 흐트러질 수 있다는 판단에 섣불리 수면 위로 꺼내놓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당이 지난 7일부터 이달말까지 전 지역 당원협의회를 대상으로 공천심사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당무감사에 돌입하면서, 황교안 대표가 물갈이 폭에 얼마나 의지를 갖고 있는 지에 관심이 쏠린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