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연일 비상인데 국정감사 자료 요구도 여기저기서 들어옵니다. 너무하지 않습니까”
오는 18일 예정된 경기도 국정감사의 주요 화두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을 비롯한 안전ㆍ방역 문제로 분석된(본보 11일자 3면) 가운데 경기도 방역 당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뿐만 아니라 각종 상임위로부터 자료 취합에 시달린 것으로 확인됐다. 주말ㆍ밤샘 근무를 감수한 경기지역 공직자에 5년 전 통계까지 요구하는 등 중앙 정치권의 관행적 모습이 방역망을 위협했다는 지적이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ASF 담당 부서인 경기도 동물방역위생과를 중심으로 경기도 방역 당국에 대한 국감 자료 주문이 이어지고 있다. 오는 18일 경기도청에서 국감을 진행하는 행안위 외에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등에서도 도 방역 당국을 연일 압박하고 있다.
국회에서 요구한 자료 목록을 보면 행안위 내 여당 소속 A의원은 5년 전인 2014년부터 올해까지 가축 살처분 현황을 문의했다. 야당의 B의원도 최근 5년간 도내 가축 질병으로 인한 피해 현황을 정리하라고 요청했다. 이어 농림위 야당 C의원은 최근 5년간 살처분 투입된 공무원 진료 현황의 취합을 주문하기도 했다. 야당 D의원은 과거 구제역ㆍAIㆍASF를 전부 대상으로 지역별 동원자 사후관리, 동원 민간인의 피해 접수내역과 조치, 민간인의 정신 치료 권유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달라고 전했다. ASF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담당 업무 중 하나인 반려동물 등록 현황도 환노위 요구 자료로서 정리됐다.
이에 방역은 방역대로, 자료는 자료대로 총력을 기울이다 보니 공직자들은 업무 과부하에 시달리고 있다. 실제로 경기도 축산산림국, 동물위생시험소, 북부동물위생시험소, 축산진흥센터 등 방역 부서 직원 270여 명은 거의 매일 반복되는 야근으로 본인 건강과 자녀 양육 등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도 관계자는 “국회에서 요구하는 자료를 성실히 준비하고 있지만 방역 활동이 이어지는 가운데 버거운 게 사실”이라며 “국회에서 경기도 방역 당국의 힘든 상황을 인지, 넓은 아량을 보여주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