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평화시대를 맞아 한강하구에 남북 간 보행 육교를 건설하려는 경기도 계획이 최초로 공개된(본보 2월22일자 1면) 가운데 경기도가 보행 육교를 포함한 ‘한강하구 활용 15개 사업’을 공식 발표했다. 경기도는 포구마을 조성ㆍ뱃길 복원ㆍ남북 농식품 유통센터 건립 등 다양한 청사진을 제시, 한강하구 일대를 새로운 평화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다짐했다.
경기도는 17일 경기도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한강하구 남북 공동수역의 평화적 활용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지난 1월부터 연구를 수행한 경기연구원은 생태자원 조사, 옛 포구 역사ㆍ문화 복원, 평화 도보 다리 건설 등 4개 분야 15개 사업을 제안했다.
앞서 경기연구원은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파주시 탄현면 만우리부터 서해 강화군 서도면 말도까지 한강하구 67㎞를 대상으로 과업을 수행했다. 한강하구는 정전협정상 군사분계선이 없는 중립수역이며, 70년 가까이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생태ㆍ역사적 가치가 높다.
경기연구원이 정리한 4개 분야는 ▲생태ㆍ환경 ▲관광ㆍ지역 개발 ▲교통ㆍ사회간접자본(SOC) ▲산업ㆍ경제 등이다.
대표적으로 교통ㆍSOC 분야는 평화 도보 다리 건설, 남북 연결도로 건설, 평화시장 플랫폼 설치 등 3개 사업이다. 이 중 평화 도보 다리는 ‘남북의 분단 극복을 통한 평화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달하기 위해 야심차게 준비한 사업이다. 다리는 김포시 조강포 일대와 북한 개풍군 하조강나루 일대를 연결하며, 세계 최장인 2.48㎞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어 생태ㆍ환경 분야 제안된 사업은 한강하구 생태자원 특성 남북 공동조사, 한강하구 중립수역 남북 공동 람사르 습지 등재 및 관리 등이다. 관광ㆍ지역 개발 분야에서는 고양 신곡수중보~김포 연안∼서해 및 파주 임진강 뱃길 복원, 포구마을 조성, 한강하구 도보길 조성 등의 사업이 제시됐다. 끝으로 산업ㆍ경제 분야는 수산 종묘 배양장 건립, 남북 농식품 유통센터 건립, 경기북부 농업기술원 개원,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한 자유무역지대 지정 등이 포함됐다.
경기연구원은 남북 협력을 이끌 ‘남북 지역협의회’ 구성 방안, 정부 차원의 DMZㆍ한강하구 관리 전담기구인 ‘DMZㆍ한강하구 관리청 설치’ 방안 등도 함께 명시했다.
도는 해당 분야 사업들을 정부에 제안, 내년부터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신명섭 경기도 평화협력국장은 “한강하구의 평화적 활용은 민선 7기 경기도의 중점사업”이라며 “한강하구가 새로운 평화공간이 되도록 관련 주체들과 협력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