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안성서 올해 경기도 첫 일본뇌염 확진…"11월까지 주의"

부천·성남에선 의심신고 3건 검사 중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 경기일보DB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 경기일보DB

부천과 안성에서 일본뇌염 확진 환자가 발생한 데 이어 부천·성남에서 3건의 의심 신고가 추가 접수돼 매개 모기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2일 경기도와 안성시 등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부천에서 50대 남성 A씨가 일본뇌염 증세를 보여 검사한 결과 이달 11일 확진을 받았다.

A씨는 올해 들어 경기도에서 발생한 첫 일본뇌염 확진 환자다.

지난달 16일 안성시 양성면에서는 70대 여성 B씨가 발병해 검사한 결과 이달 16일 확진을 받기도 했다.

이후 현재까지 추가 확진 환자는 없었으나 부천(2건)과 성남(1건)에서 의심 신고가 접수돼 보건당국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리면 발생한다.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9∼11월에 나타나며,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는 치명적인 급성 뇌염으로 진행되며 심한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특히 최근 5년간 일본뇌염 발생을 감시한 결과 일본뇌염 환자의 90% 이상이 40세 이상이었으며,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올해 8월 대구에서는 80대 여성 환자가 일본뇌염 확진을 받고 사망한 바 있다.

보건당국이 조사한 결과 이 환자는 거동이 불편하고 고혈압, 심장질환 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고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천과 안성 등 관련 지자체는 일본뇌염 확진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방역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안성보건소 관계자는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 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하고, 성인은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경우 의료기관에서 의사 상담 후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며 "11월까지는 일본뇌염 매개 모기의 활동이 지속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