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순찰차 증차수요 상위 20개 경찰서 중 18개 경기남부

특별ㆍ광역시 단위 지방청 순찰차 1대당 관할면적 평균 9.1㎢
도 단위 지방청 순찰차 1대당 관할면적 평균 41.2㎢
순찰차 1대당 관할면적 1위 강원 89.8㎢, 서울과 100배 차이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광주갑).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광주갑).

112순찰차 증차수요 상위 20개 경찰서 중 18개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광주갑)이 25일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12순찰차(순찰차) 증차수요 상위 20위 경찰서 중 18개가 경기남부지방곁찰청으로 조사됐다.

2019년 8월 기준 전국 지방청의 순찰차 수는 4천52대로 2018년 말 기준 4천41대에서 11대 증차 됐다. 지방청별로는 서울이 713대로 가장 많고, 경기 503대, 경북 347대, 경남 306대, 전남 269대 순이다.

지난 6월 25일 개청된 세종을 제외하고는 부산(256대→257대), 광주(93대→95대), 대전(89대→90대), 충북(150대→1천51대), 전남(267대→269대), 제주(53대→60대) 등 6개 지방청은 2018년과 비교해 순찰차가 늘어났고, 충남(220대→204대), 전북(260대→259대) 등 2개 지역은 감소했다.

관할면적의 경우 2019년 전체 순찰차 평균 관할면적은 24.8㎢이다. 지방청별로는 강원이 89.8㎢로 가장 넓고, 뒤이어 경북 54.8㎢, 충북 49.4㎢, 전남 45.4㎢, 충남 40.3㎢이다. 특별ㆍ광역시 단위 지방청의 순찰차 1대당 관할면적의 평균은 9.1㎢인 반면, 도 단위 지방청은 4.5배가 넘는 41.2㎢이다.

경찰은 순찰차 1대당 순찰인력으로 순찰차 증차수요를 파악하고 있는데, 전국 경찰서의 순찰차 증차수요를 분석한 결과 증차수요 상위 20개 경찰서 중에서 경기남부가 18개, 인천이 2개로, 경기남부가 90%를 차지했다.

한편, 이러한 관할면적의 차이는 결국 112신고 평균도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각 지방청의 112 긴급신고 평균도착시간 중 가장 격차가 큰 특별ㆍ광역시 단위 지방청과 도 단위 지방청의 평균도착시간 차이는 3분(177초)에 육박했다.

소 의원은 “범죄는 순찰차가 올 때까지 기다려주지도 않고, 순찰차가 빨리 올 수 있는 위치에서 발생하지도 않는다. 재정과 형평성 등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있지만, 모든 국민이 거주 지역에 따라 차별받지 않고 양질의 치안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확한 순찰차 증차수요는 정확한 순찰인력의 배치에서 시작된다”며 “인구와 교통사고의 증감 등 지역의 여건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순찰인력 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