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수당 문제 등으로 행정복지센터에 갈 일이 있을 때마다 겁부터 덜컥 납니다.”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에 사는 장애인 A씨(52)는 각종 민원 처리를 위해 행정복지센터를 가는 날이면 아침부터 머리가 아프다.
A씨의 민원 업무를 처리해야할 행정복지센터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이 없기 때문이다.
A씨는 “20년째 도화1동에서 살고 있는데, 그때나 지금이나 달라진 점이 하나도 없다”며 “주차할 공간이 없어 그냥 돌아온 적도 있다”고 했다.
도화1동 행정복지센터는 기계식 주차장만 있을 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없다.
게다가 도화1동 행정복지센터 주변은 좁은 골목길 양옆으로 매일 꽉 차는 공영주차장이 있어 A씨가 주차를 위해 조금만 머뭇거려도 빵빵거리는 경적 소리가 골목을 채웠다.
인천 중구 도원동에 사는 장애인 B씨(45) 사정도 다르지 않다.
도원동 행정복지센터는 주차면이 아예 없고, 주변 거주민의 사유지 주차장 3면만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B씨는 직접 행정복지센터를 가려면, 먼 곳에 차를 세운 후 기구의 도움을 받아 센터에 가고 있다고 했다.
그는 “불편하다는 얘긴했지만, ‘원래 골목에 있어서’라거나 ‘공간이 좁아서’ 주차면을 설치하기 어렵다고 말한다”며 “지자체가 해결할 의지는 있는지 궁금할 지경”이라고 했다.
지난 2008년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후 10년이 지났지만, 인천지역 행정복지센터 내 장애인 차별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인천시와 군·구에 따르면 인천 내 10개 군·구 153개 행정복지센터 중 장애인 주차면이 없는 센터 수는 28곳으로 확인됐다.
행정복지센터는 주차장법 시행령에 따라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설치해야하는 시설물이다.
장종인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무국장은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후 10년이 넘도록 여전히 장애인 전용 주차면이 없다는 것은 문제가 많다”며 “공간이 부족하면 다른 대안을 찾는 등 공기관인 행정복지센터가 앞장서 장애인 시설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