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환경의 쾌적·안정·편의성 등을 감안해 재개발·재건축 추진
인천시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종전 ‘구역별’ 일괄 추진에서 ‘주거생활권별’ 추진으로 전환한다. 시는 주거생활권으로의 사업 방식 전환으로 지역 맞춤형 도시 재개발·재건축을 추진한다.
27일 시에 따르면 28일부터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안)’을 시 홈페이지에 공개해 오는 11월 11일까지 시민 의견을 받는다.
이번 정비기본계획안의 핵심은 인천의 특성과 주거지관리 정책을 반영해 종전 정비예정구역을 주거 생활권계획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생활권은 영화관, 도서관, 쇼핑몰의 유무 등 주거환경 쾌적성, 안정성, 편의성을 파악하는 주거환경지표를 통해 나눈 것으로, 같은 생활권으로 묶인 지역은 비슷한 수준의 주거환경 특성을 가진다. 인천에는 모두 43개의 생활권이 있다.
시는 주거생활권별 진단 및 계획방향을 세울 방침이다. 이를 토대로 시는 재개발은 주거지 정비가 얼마나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주거정비지수를 통해 신규 재개발 사업 추진여부를 정한다. 재건축은 생활권별 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면 현재 정비예정구역이 아닌 지역도 노후·불량건축물은 재건축 판정을 위한 안전진단 요청이 가능하다.
시는 같은 특성을 가진 생활권에 따라 도시정비를 추진하는 만큼 지역 특성에 맞는 재개발·재건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밀도계획에 기준·허용상한용적률 체계를 도입하고 용적률 완화항목을 체계적으로 조정했다. 또 토지이용, 교통, 생활가로, 기반시설 등 전체 주거지의 관리를 위한 부문별 계획을 수립하고 주거생활권 계획과 연계하는 주거지 정비·보전·관리지침을 마련했다.
최도수 시 주거재생과장은 “이번 정비기본계획을 통해 생활권을 기반으로 하는 종합적인 주거지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앞으로 재개발 사업은 주거정비지수를 적용해 정비구역지정 단계부터 다각도로 평가해 신중하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