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감사관 증원 등 교육현안 초당적 해결”
지난해 6·13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의회에 더불어민주당 광풍이 불었다. 그야말로 95%가량을 ‘싹쓸이’하면서 그동안 유지해왔던 자유한국당과 양강 구도가 무너졌다. 그래서 일각에선 과연 날카로운 견제와 감시가 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이 같은 정치적 구도 속에서 김미리 부위원장은 진영논리와 편가르기 등의 상황에서도 “아닌 건 아니다”라며 거침없는 쓴소리를 하며 선 굵은 의정활동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한 교육 현안이나 문제에 대해선 여당 그리고 교육 관계자,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에게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 도정질문과 5분 발언을 통해 도민의 생생한 목소리를 의회에 줄곧 전달해왔다.
집행부와 치열한 창과 방패의 싸움을 벌이면서 듣기 좋은 소리만 하지 않고 바른소리,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는 김 부위원장은 지난 2014년 6ㆍ4지방선거에서 비례대표로 공천받아 정치를 시작하기 전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로 남양주 답내초등학교 도서관 사서로 근무하고 있었다. 그 당시를 회상해보면 비례대표로서의 역할과 책임감 그리고 새로운 것을 도전하는 것이 두려웠다고 했다.
김 부위원장은 “우스갯소리일지 모르지만 교육 당국에서 가장 싫어하는 의원으로 꼽힌다고 들었다”며 “워낙 쓴소리를 많이 하는데 이는 경기교육과 경기도교육청에 대한 견제, 비판을 통해서 바로잡으려고 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특히 경기도교육청의 소통 부재한 조직문화에 대해 따끔한 지적과 충고를, 그리고 학교도서관 사서 배치, 시민감사관 증원, 공기정화장치 설치, 학교안전, 꿈의학교 등을 집중적으로 진단하고 문제점을 지적, 개선방안 등을 집행부에 제안했다. 또 사서뿐만 아니라 기타 직렬 직원들과의 간담회를 가져 그들의 애로사항을 듣고 해결방안을 모색했다.
이처럼 제9대 의원 경험을 바탕으로 10대에서도 지난 1년간 경기도교육청 방과후학교 지원 조례안, 경기도교육청 학교도서관 운영 및 독서교육진흥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 6건의 조례안을 대표 발의해 전문성 있는 의정활동을 펼쳐왔다는 평가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김미리 부위원장은 올해 행정사무감사를 앞두고 “도의원과 경기도교육청과의 관계는 경기교육과 다양한 교육가족 구성원들에 대해 애정을 가지고 비판하고 그 비판에 대해서 보다 더 귀를 기울이는 동반자적인 관계로 성장해야 한다”며 “한층 발전된 경기도 교육을 위해 더 열심히 공부하고 더 치열하게 경청하겠다”고 약속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