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대율 규제·오픈뱅킹에 여론 뭇매 등 우려
지난달 16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이후 외국계 은행을 시작으로 일부 시중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인하했다. 5대 시중은행은 고객 이탈에 대한 우려와 새로운 예대율 규제 등을 이유로 아직 관망하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씨티은행과 SC제일은행 등 외국계 은행이 일부 수신상품의 금리를 내렸다.
씨티은행은 지난달 25일부터 일부 입출금 통장에게 주는 우대금리를 0.2∼0.3%P 인하했다. ‘씨티더하기통장’의 경우 신규가입하거나 1천만 원 이상 금융거래 실적이 있으면 기존에는 연 1.4%의 금리를 줬지만 이번에 1.2%로 인하했다.
SC제일은행은 이달 1일 주요 입출금 상품의 금리를 0.1∼0.3%P 내렸다. ‘내지갑통장’은 최고금리를 연 2.5%에서 2.2%로, ‘SC제일마이줌통장’은 최고 연 1.2%에서 1.0%로 금리를 인하했다.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은 아직 인하가 이뤄지지 않았다. 전례를 보면 지난주에 예금금리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측됐지만, 은행들은 여전히 고민 중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 이후 시장금리의 방향성이 잡히지 않아 예금금리 조정에 대한 고민이 길어진다”라고 설명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빠르면 이번 주에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고, 우리은행은 “시장 상황을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상품을 판매하는 마케팅 부서와 은행의 수익성을 관리하는 재무 등 부서 간의 조율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농협은행은 “상품별로 인하 폭을 검토하고 상품도 조정해야 해 시간이 걸릴 것 같다”라고 전했다.
이들이 쉽사리 결정을 못 내리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신규 예대율 규제를 앞두고 예금을 최대한 많이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서 예금금리 인하에 앞장서는 것은 여론을 악화시키고 고객을 뺏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지난달 30일 은행 간 플랫폼의 경계를 허무는 ‘오픈뱅킹’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고객 지키기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수익성을 높이겠다고 먼저 나설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대출 금리는 여전히 상승세다. 하루나 주 단위로 변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의 고정형 금리는 또 올랐다. 4일 기준 국민은행의 주담대 고정형(혼합형·이후 변동형으로 전환) 금리는 2.55∼4.05%로, 전주보다 0.09%P 높다.
신한은행은 2.94∼3.95%(지난달 28일 대비 0.08%P↑), 우리은행 2.79~3.79%(0.08%P↑), 농협은행 3.14∼4.24%(0.28%P↑), 하나은행 2.751∼4.051%(0.058%P↑)였다.
이는 주담대 고정형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금리가 오른 데다 일부 은행이 가산금리까지 올리면서 나타났다. 당분간 대출금리가 하향세로 돌아서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정부가 재정 확충을 위한 국채 발행 확대를 예고하면서 공급 증가로 인한 채권가격이 하락(채권금리 상승)하고 있다.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실행을 위한 20조 원 규모의 주택저당증권(MBS) 발행도 12월에 예정돼 채권시장 금리는 하락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