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이기형 도의회 제1교육위원회 의원 (더불어민주당ㆍ김포4)

“보편적 교육복지 목표… 의정 역량 집중”

“학교 학생과 교사는 물론 교육공무직 등 전 분야의 보편적 교육복지에 목표를 두고 최선을 다해 의정 활동에 임하겠습니다”

경기도의회 제1교육위원회 소속 이기형 의원(더불어민주당ㆍ김포4)은 “보편적 교육복지를 의정 활동의 목표로 삼고 있지만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교육계 갈등 해소에 대한 예방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고, 공정한 사회를 위해 교육공무직들의 복지도 향상시켜야 한다”며 “특히 무상급식, 무상교복의 공급자들에 대한 워라밸(work-life balance)도 중요하다. 다양한 교육현장의 복지가 고루 증진돼야 보편적 교육복지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특히 이기형 의원은 산업안전보건 관련 자격증을 갖고 있고 건설기술인협회 등록 기술자이기 때문에 교육현장에서 이 분야에 대한 미비점을 명확하게 파악, 접목해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의원은 ‘경기도교육청 산업안전보건증진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이 조례는 경기도교육청의 산업안전과 보건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기준을 확립,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을 통해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증진하고자 마련됐다.

이 의원은 “학교 급식소는 단일 사업장이라서 산업안전보건법을 따라야 한다. 이게 강제규정인데 안 따르면 형사처벌을 받는다. 지금까지 교육시설에 대한 유권해석을 받은 적이 없다”면서 “전국 최초로 이 조례를 제정해 경기도교육청 내 교사와 행정, 기술직의 안전관리를 한 보람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 의원은 지역현안으로 한강신도시의 부족한 학교 인프라 문제를 지적하며 “2기 신도시의 비슷한 문제지만 교통과 과밀학급 문제가 있다. 학교의 개교가 항상 5~6년씩 늦기 때문에 학교가 개교해도 한 학급당 36명을 넘어 제대로 수업이 어렵다”면서 “고교평준화도 2023년 정도에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학교 배정과 관련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있고 특정 학교의 명문대 진학률이 떨어졌다고 할 수 있지만 학업성취도 향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이야기는 근거가 없다. 고교평준화도 보편적 교육복지의 일환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 의원은 “경기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의 행정조직에 폐쇄성이 있다. 그런 부분에서 각각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해야 한다. 아직은 책임과 권한 측면에서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것 같다”면서 “또 조정을 하려면 저항을 한다. 본청과 교육지원청의 권한과 책임을 다루려 하면 저항이 있다. 이 같은 문제도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