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교통 2030 비전’… 도내 한국당 의원들 미묘한 입장차

주광덕 “남양주 대책 기존 것들 나열 불과… 전면 재검토”
이현재, 재원대책·예타면제 등 조기추진 촉구 “차질없어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경기 의원들이 4일 정부의 ‘광역교통비전 2030’을 집중 지적하고 나섰다. 하지만 한쪽은 “전면 재검토”를 요구한 반면 다른 한쪽은 “차질없는 실현”에 초점을 맞춰,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예결특위 주광덕 의원(남양주병)은 이날 성명을 내고 “지난달 말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광역교통 2030’의 수도권 동북부권 대책은 기존에 나왔던 대책들을 나열한 것에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했다.

주 의원은 남양주시에 대한 대책들을 보면 GTX B·C노선, 진접선, 별내선, S-BRT, 별내역 환승센터 등으로 대부분이 이미 오래전부터 추진돼온 사업이거나 문재인 정부 들어 추진된 택지개발(3기 신도시)과 함께 제시된 교통대책들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그동안 김현미 국토부 장관(고양정), 최기주 대광위원장에게 수차례 남양주의 교통혼잡상황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고 해결책을 논의했음에도 불구하고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특단의 대책은 없다”며 “정부가 3기 신도시를 추진하며 말로만 ‘선 교통대책’을 제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한국교통연구원이‘수도권 동북부지역 광역교통대책 평가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하철 9호선·6호선 연장뿐만 아니라 수석대교 신설, 삼패사거리 고가도로 개선방안, 경의중앙선 용산~청량리~망우 구간 복복선화 사업, KTX 경강선 덕소역 승하차 역사 추가, 국도 47호선 확장, 신설 등의 대책이 광역교통대책에 포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밝혔다.

국토교통위와 예결특위에 함께 소속된 이현재 의원(하남)은 오전 예결특위 전체회의에서 정부가 지난달 말에 발표한 ‘광역교통비전 2030’의 재원대책 및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 등 조기추진 방안을 추궁했다.

이 의원은 “광역교통비전 2030의 전체 재원수요와 재원은 어떻게 공급하는 것인지, 정부가 당연히 기획재정부와 협의했을텐데 기존절차로 하게 되면 의미가 없다”면서 “예타 면제 등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그는 지난달 31일 국토교통위원회의 내년도 예산안 심사 때도 김현미 장관에게 “정부가 발표만 해놓고 후속조치는 되지않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타 면제 등을 통해 계획적으로 추진이 잘 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촉구했다.

이 의원은 같은날 보도자료를 내고 “광역교통 2030에 ‘9호선 하남연장’과 ‘강일환승센터’가 반영된 것을 매우 환영한다”면서, 내년 개통 예정인 ‘하남선(5호선 연장)’과 교산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3호선 연장’이 포함된 것에 대해서도 환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