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도의원들 “도덕산 등 생태계 훼손 광명시민만 피해”
“차량기지 이전 전제로 추진한 제2경인선사업 용납 못해”
경기도의회 광명 지역 의원들이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사업을 반대하며, 해당사업 철회를 위해 경기도가 적극적으로 협력해달라고 요구했다.
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정대운 기획재정위원장(광명2)과 김영준 도시환경위원회 부위원장(광명1)을 비롯해 오광덕(광명3)ㆍ유근식 의원(광명4)은 5일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이 같은 내용의 기자회견을 열고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사업과 이를 전제로 추진 중인 제2경인선 사업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도의회에 따르면 서울시 구로동 구로차량기지는 지난 1974년 완공 후 주민들이 소음·진동 등 민원을 지속적으로 제기했으며, 국토교통부는 지난 2005년 수도권발전종합대책을 통해 광명 ‘노온사동’으로의 이전을 결정했다. 하지만 광명시민들은 국토부의 일방적인 결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현재 구로차량 기지 광명 이전을 전제로 제2경인선 광역철도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교통혁명으로 막대한 이익을 보는 인천시가 철도사업의 가장 기본이 되는 차량기지 대안조차 없이 광명시민의 희생에 편성해 사업을 꿈꾸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사업은 구로구의 민원 해결이고, 스마트시티 건설에 따른 막대한 이익을 서울시에 주기 위한 것”이라며 “구로차량기지 이전 시 준공업지역이던 해당 지역은 상업지역으로 변경돼 오랜 숙원이 해소될 뿐 아니라 부동산 가치 폭등이라는 특별한 혜택까지 받게 된다. 반면 광명지역은 생태계 허파인 도덕산과 구름산 훼손으로 인한 자연환경 파괴, 소음·분진·도시단절을 감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의원들은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의 경제적 타당성 미확보 문제도 지적했다. 이들은 “지난 2007년과 2012년 실시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에서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은 물론 2016년 KDI(한국개발연구원) 타당성재조사 보고서에도 ‘이전사업에 대한 적절성을 단정하기 어렵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고 문제 제기를 했다.
그러면서 “33만 광명시민은 정부에서 광명시와 협의 없이 추진하는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사업에 반대한다”면서 “경기도에서도 우리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정부에 전달해 사업이 중단되도록 협력해달라. 경기도의회도 중간 역할을 하겠다”고 당부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