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내 복지관 19곳… 53곳 부산보다 인구 배 이상 많아
54만명 거주 서구는 달랑 1곳, 군·구별 차이도 ‘천차만별’
인천시의 종합사회복지관 수가 서울·부산·대구 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구는 주민 50만여명이 고작 1곳의 사회복지관을 이용하고 있어 사회복지관 확충이 시급하다.
5일 시와 인천시의회 등에 따르면 인천의 사회복지관은 모두 19곳이다. 인천의 인구가 300만명을 감안하면 인천의 사회복지관 1곳이 담당하는 주민 인구는 15만8천명이다.
사회복지관은 15~17명의 인력이 상주하며 지역 저소득층, 아동, 노인, 장애인 등 모든 주민들에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 인력은 각 세대를 방문, 사례를 관리하고 물품을 전달하는 등의 업무를 하고 있어 지역의 복지 서비스 질을 가르는 기준이다.
하지만, 인천은 경쟁도시인 서울·부산·대구에 비해 사회복지관이 많이 부족하다. 서울·부산·대구에는 각각 98개, 53개, 27개의 사회복지관이 있다. 이들 사회복지관 1곳이 맡은 주민 인구는 각각 10만명, 6만5천명, 9만2천명이다. 부산과 비교하면 인천의 사회복지관 1곳이 담당하는 주민 인구수는 배 이상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사회복지관에 지원하는 금액을 전체 인구수로 환산한 액수도 부족하다. 인천의 인구수 당 환산액은 4천575원이다. 반면 부산의 인구수 당 환산액은 9천955원으로 배 이상이 많았으며, 서울과 대구의 인구수 당 환산액도 각각 9천80원, 6천933원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군·구 별 차이도 심하다. 지난 9월 기준 강화군에는 6만9천명이 있지만 이들을 담당하는 사회복지관은 없다.
또 서구·계양구·부평구 등도 지역 내 사회복지관 시설이 부족하다. 서구에는 54만3천명이 거주하지만 이들을 담당하는 종합사회복지관은 1곳뿐이다. 서구 사회복지관 1곳 당 인구수가 약 54만명인 셈이다.
계양구도 30만5천명의 주민들이 1곳의 사회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다. 부평구는 51만4천명의 주민이 3곳의 사회복지관을 이용하고 있어, 사회복지관 당 인구수는 17만명이다.
중구의 사회복지관 당 인구수는 13만명으로 인천시내 평균보다는 낮다. 하지만 영종도는 인구가 7만명까지 늘었지만 사회복지관이 전무하다.
반면 동구와 옹진군의 사회복지관 당 인구수는 각각 3만명, 2만명으로 우수한 편에 속했다.
이 밖에도 인천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수도 부족하다. 인천의 장애인복지관은 10곳이다. 이는 서울(49곳), 부산(15곳) 보다 적다. 노인복지관도 19곳으로 서울의 81곳, 부산의 26곳보다 적다.
이배영 인천 사회복지사협회장은 “인구 10만명 당 1곳의 사회복지관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며 “인천은 다른 지역에 비해 사회복지관 수가 너무 적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와 10개 군·구가 적극적으로 사회복지관 확충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종합사회복지관은 군·구에서 설립 계획을 세우면 그에 따라 시와 군·구가 각각 50%씩 사업비를 분담하는 방식이라 시가 주도적으로 추진할 수 없다”며 “다만 중앙정부가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확대함에 따라 공모에 적극 신청하고 있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