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한강하구 개념을 종전 교동도 인근에서 영종대교-신도-시도-모도-징봉도까지 넓혀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같은 해수의 영향을 받는 만큼 한강하구 개념 확장이 통합 관리에 수월하기 때문이다.
시는 5일 중회의실에서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체계 구축’ 중간보고회 및 토론회를 했다. 보고회에서 용역 수행자인 인천연구원은 한강하구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념을 확장해야 체계적인 한강하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연안의 염분 분포를 분석, 인천항 부근까지 한강담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강화해협, 석모해협도 한강담수 영향이 있다.
하지만 인천연구원은 영종대교 남측과 인천항 일대는 해양수산부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영종대교 북측까지 한강하구 개념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 밖에도 조수 및 하천유량 변화와 어획 어종, 자연환경 측면에서의 생태적 연결고리 등도 이 같은 개념 확장의 검토 대상으로 작용했다.
시는 이 같은 보고 자료에 따라 앞으로 한강하구의 개념을 영종대교 북측까지 확대하도록 나설 계획이다. 시는 한강하구법 제정과 관리구역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시는 전문성을 담보한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기관도 설립한다.
시 관계자는 “한강하구가 건강하고 평화로워야 서해도 건강하고 평화로울 수 있다”며 “한강과 인천 앞바다의 통합 관리로 인천의 물 주권을 확보하고 물 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물 순환 도시 인천을 조성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