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내렸지만 주담대는 오름세…대출시장 ‘한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금리는 여전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연말을 맞아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규제를 지키기 위해 은행들이 대출 확대를 자제할 것으로 예상돼 내 집 마련을 위해 돈 빌리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ㆍ신한ㆍ우리ㆍKEB하나ㆍNH농협은행의 고정금리형(혼합형) 주담대 금리가 11일 전주인 4일과 비교해 적게는 0.035%p, 많게는 0.09%p 오른다.

국민은행이 2.64∼4.14%로 금리 자체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가장 큰 폭(0.09%p)으로 인상됐다. 농협은행은 0.08%p 오른 3.22∼4.32%로 결정했다. 신한은행(3.00∼4.01%)과 우리은행(2.85∼3.85%)도 일주일 전보다 0.06%p 오른다.

한은이 지난달 16일 기준금리를 0.25%p 인하했음에도 주담대 금리는 상승세다. 기준금리 인상 전인 지난달 14일 자 금리와 비교하면 주요 은행의 11일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4주 사이 0.29∼0.55%p 올랐다. 이는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AAA등급 금융채 5년물 금리가 지난달 초부터 계속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입장에선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가 연말로 갈수록 발등의 불이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예대율(대출/예금 비율) 규제는 예대율을 산정할 때 가계대출은 가중치를 15% 상향하고 기업대출은 15% 하향 조정하는 방식이다. 주택대출로 돈을 버는 국내 시중은행들의 영업구조에서 이처럼 산식을 바꾸면 예대율이 100%를 넘는 은행이 나올 수 있다. 은행들 입장에선 예금금리를 높게 가져가면서 예금을 유지ㆍ추가 유치하고, 가계대출 금리는 높여 대출을 줄일 수밖에 없다. 규제 시행 시점은 내년이다. 즉 남은 2개월 동안 예대율을 100% 이내로 맞춰놔야 한다.

주요 은행들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5%대로 제한하라는 금융당국의 총량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앞으로도 대출에 소극적일 수 있다. 가계대출을 이미 6% 이상으로 늘린 은행 입장에선 이달과 내달에 급브레이크를 밟아야 한다. 일부 은행들이 가산금리나 우대금리까지 조정하면서 대출금리를 끌어올리는 것도 가격을 올려 수요를 통제하자는 취지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새로운 예대율 규제를 앞두고 가계대출을 늘리기가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총량 규제를 맞추기 위해서 연말로 갈수록 가계대출 증가세를 조정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