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경제청은 연세대의 무모한 처사에 단호한 대처를

서승환 연세대 신임총장당선자의 선거 공약이 송도 주민들의 반발을 사면서 연세대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고 있다. 서승환 당선인은 송도병원건립 지연에 따르는 독소조항을 즉시 제거하고, 송도병원 부지를 애초 7공구에서 11공구로 옮기고 Bio-Lab Park를 운영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이와 관련 송도 주민들은 커뮤니티카페를 중심으로 송도세브란스병원 조성 지연에 대한 우려와 함께 부지 이전 반대의견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무엇보다도 명문사학의 신뢰성을 의심케 하는 연세대 신임총장 당선자의 행태에 대한 비난과 더불어 잠잠했던 특혜시비에 대한 지적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송도국제도시와 관련하여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이 연세대에 베푼 특혜시비는 끊이지 않는 지역의 이슈이다. 인천시민과 전문가들의 오랫동안 지속해서 제기해온 특혜시비를 무릅쓰고 올해 초에 송도국제도시의 개발계획을 변경해서 11공구에 99만여㎡ 이상의 바이오단지를 추가로 배정하기도 했다. 이러한 결정을 할 때 그동안 연세대가 10년 넘게 지키지 않은 송도병원 건립 약속의 이행을 전제로 한 것이었음을 연세대와 경제청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건립지연에 따른 독소조항을 제거하고 부지를 옮기는 공약을 제시한 것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행태이다. 누가 봐도 병원 건립을 지연하고자 하는 명문사학의 치졸한 갑질 문화이다.

올해 초 추가로 11공구 부지를 제공할 때 지역에서 우려한 특혜시비와 연세대의 몰지각한 땅 싸움에 인천경제청의 무원칙과 무책임의 결과가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산자부 개발계획변경 승인과 관련한 경제청의 행정실무절차를 교묘히 악용하면서 본성을 드러내는 연세대의 행태를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의 단호한 태도와 대처가 강구되어야 한다. 지역의 정치인과 주민에게만 맡기고 방관하는 모습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상황이다.

이번 기회에 인천경제청의 지역대학에 대한 입장을 재정립하는 기회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정된 송도부지를 일관되게 연세대에만 유리한 결정을 하고 인하대와 인천대에는 인색하기 짝이 없는 행정에 대해 되새겨 보아야 한다. 오랫동안 인천시와 함께하며 지역에 기여 하고자 노력했던 지역거점대학의 지원에 대해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대도시의 발전은 지역대학과 함께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과거 특혜를 입어 캠퍼스를 조성하고도 10년 넘게 약속을 지키지 않은 부도덕한 대학에 계속해서 끌려가는 보이지 않는 고리를 이제는 끓어야 한다. 그 시점이 지금이다. 인천시와 송도 주민을 거듭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무례하게 자기들의 욕심만 채우는 사학의 횡포를 단호히 척결할 때이다.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의 단호한 대처를 기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