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방역초소 일부 폐쇄… 경기남부 지자체들 부담 던다

정부, 사태 소강국면… 현실 감안
안성시·평택시 등 ‘농장초소’ 철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경기지역 지자체가 부담을 호소하고 있는(본보 11월 4일자 6면) 가운데 정부가 경기남부 지역 일부 초소를 폐쇄하기로 했다. 이에 그동안 초소 운영 등에 투입되던 인건비가 축소되면서 도내 지자체들의 예산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12일 도내 지자체 등에 따르면 정부는 ASF가 한 달 넘게 추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소강상태를 보이자 최근 경기남부지역 농장 방역 초소를 폐쇄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이에 따라 안성시는 이날 그동안 운영해 온 농장초소 137곳을 전날 오후를 기해 모두 폐쇄했다. 다만 거점 초소 3곳과 이동 통제 초소 2곳, 조류인플루엔자(AI) 초소 12곳은 계속 운영 중이며, 이동 통제 초소 5곳을 추가 설치해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기로 했다.

이로써 안성에서 유지되는 초소는 152곳에서 22곳으로 줄어들었으며, 하루 725명이던 초소 근무 인력도 61명으로 줄었다. 근무 인력이 줄어들면서 투입되던 방역 관련 예산도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안성시 관계자는 “농장 초소는 폐쇄하는 대신 거점 초소 등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방역 체계는 이어갈 방침”이라며 “한 달 평균 35억여 원 투입되던 ASF 방역 관련 예산도 크게 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평택시도 그동안 운영해 온 농장 초소 38곳을 모두 폐쇄, 하루 평균 258명 투입되던 방역 근무 인력이 18명으로 줄었다. 평택시는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고자 거점 초소 2곳을 유지할 방침이다.

평택시 관계자는 “농장 초소 폐쇄에 따라 거점 초소 중심의 방역은 더 철저히 하도록 조치했다”며 “농장 초소에 투입되던 공무원들도 본연의 업무로 복귀할 수 있게 돼 행정 공백 우려도 덜게 됐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2일 기준 도내에는 양돈농장 앞 초소 806개소(북부 244ㆍ남부 562), 발생지역~완충지역 통제초소 14개소 등 919개소의 통제초소가 운영됐다. 초소 1곳당 통상 40만~50만 원의 인건비가 투입돼 한 달 평균 적게는 110억 원에서 많게는 140억 원의 인건비가 투입된 것으로 추산됐다. 또 돼지 살처분과 예방적 수매ㆍ도태에 따른 보상금 규모도 1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돼지열병 사태 장기화에 도내 지자체들의 예산 부담이 가중되자 당시 도는 정부에 초소 축소 운영 등을 공식 건의한 바 있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