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향토문화연구회는 <기전문화> 제21집을 출간했다.
지난 11일 출간된 이번 제21집은 지난 1986년 최범훈 경기대 교수, 이창식 경기도운수연구원 교수부장, 최홍규 수원대 교수, 안익승 유네스코경기도협회장, 이홍구ㆍ김윤배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사 등이 의기투합해 그해 12월25일에 제1집을 발간한 이래로 꾸준히 이어져 온 역사를 증명하는 신간이다. 매년 1~2차례씩 출간되다 지난 1992년 제10집을 마지막으로 명맥이 끊겼지만 2008년 제11집이 출간돼 다시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신간에는 지난 9월 취임한 임병호 신임회장의 발간사를 시작으로 연구위원인 윤수천 동화작가의 ‘<오산 인터체인지>를 쓰며 운명을 생각하다 - 조병화 선생과의 만남’, 밝덩굴 한글 연구가의 ‘겹이름씨에서의 ‘사이시옷’ 쓰기’ 등 11편의 원고가 수록됐다. 화성 소재 청명산을 중심으로 원효의 성불득도 과정을 추적한 글은 물론 조병화 시인을 가상 인터뷰로 만난 글, 고장과 우리말의 사랑이 담긴 글 등 보고 읽을 거리가 풍부하다는 평이다.
더욱이 연구위원인 김훈동 전(前) 수원예총 회장의 ‘무형문화유산 화성재인청에 대한 고찰’, 임 신임회장의 ‘고대 상량문 고찰’ 등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화성재인청의 복원 촉구, 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을 바라본 소회 등이 담겨 더욱 눈길을 모은다.
임 신임회장은 발간사를 통해 “제21집이 도민은 물론 사계 연구가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