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한국 경제성장률 내년 2% 전망…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제시

로몬 마로닐라 JP모건 글로벌채권 아시아총괄, “한국 경제 바닥 쳤고, 조금의 반등 기미 있다”

로몬 마로닐라 JP모건 글로벌채권 아시아총괄

글로벌 금융회사인 JP모건이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을 2%로 전망했다. 또, 한국은행이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 여지가 있어 금리를 더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로몬 마로닐라 JP모건 글로벌채권 아시아총괄은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2020 글로벌 채권시장 전망’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 수출 의존적인 국가이고 개방 경제여서 글로벌 경제 사이클과 무역 관련 긴장 상황에 매우 취약하다”라면서 “내년 경제성장률은 올해보다 낮은 2% 정도가 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한국 경제는 어느 정도 바닥을 쳤고 조금의 반등 기미가 있다고 본다”라면서 “한국 정부와 기관이 통화·재정정책을 실시할 여지가 있고 외부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어젯밤 미국 의회가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을 가결해 미중 무역협상에 하나의 장애물로 나타나고 있다”라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 법안에 서명할 가능성이 우세하게 점쳐지고 있어 무역협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미국은 관세를 되돌리기 전 중국에게서 더 많은 양보를 얻어내려하고 중국은 관세의 완전한 철회를 원해 양측이 원하는 것이 다르다”라면서 “근본적인 해결에 이르기까지는 쉽지 않은 과정이 남아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내년에도 이런 불확실성이 계속 유지될 것이고 시장 변동성도 높을 것”이라면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어려운 시기인데, 글로벌 채권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 기회를 줄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또 “투자등급 회사채도 기회가 있지만, 기업 펀더멘털이 전반적으로 낮아졌고 부채비율이 높아진 상황이어서 선별적으로 다가가야 한다”라면서 “펀더멘털이 좋으면서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인 채권을 물색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일반 투자자들의 경우에는 채권 투자에 있어서 3가지를 추구해야 한다”라면서 “여러 섹터에 투자할 수 있는 전략,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는 전략, 외부 불확실성과 변동성으로 인한 리스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역동적인 전략에 투자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