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국무총리를 포함한 중폭 개각을 위한 인사검증 작업에 착수한 가운데 차기 총리 후보로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수원무)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만약 김 의원의 차기 총리로 발탁되면 17년 만에 경기도 출신 국무총리가 탄생하는 것이어서 최종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내년 총선을 앞두고 문재인 정부 집권 중반기를 안정적으로 이끌어갈 차기 총리에 ‘경제통’인 김 의원이 급부상하고 있다.
김 의원실 관계자 역시 “김 의원이 밝히진 않았지만 사실상 검증 작업에 들어간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가 민생과 경제정책에 힘을 싣는다는 상징성에서 ‘경제총리’ 콘셉트인 김 의원의 주가는 줄곧 상승하고 있다. 그는 참여정부 당시 경제부총리와 사회부총리를 두루 지낸 뒤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에는 국정기획자문위원장을 맡아 집권 청사진을 내놓은 ‘실력파’다.
특히 집권 후반기부터 정부의 관료 장악 능력이 저하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김 의원의 리더십에 거는 정치권의 기대가 크다.
이와 함께 복수의 후보군으로 차기 총선 불출마가 예상되는 민주당 원혜영 의원(부천 오정)을 비롯,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정세균 전 국회의장 등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거론되고 있으며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로 공석이 된 법무부 장관 후임에는 민주당 전해철 의원(안산 상록갑) 등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다만 내각 인사로 거론된 현역은 21대 총선 출마 의지를 함께 고려해야 하는 변수가 있어 실제 입각으로 이어질지는 뚜껑을 열어봐야 한다는 견해도 나온다. 구체적인 개각 시기는 총선 출마 장관들의 공직사퇴시한 및 청문일정 등을 역산할 때 이르면 다음 달 10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