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임기 종료…악조건 속 경영 선방에 연임 가능성도
국내 증권사 최고경영책임자(CEO) 중 상당수가 내년 3월 말 임기 만료 예정으로 여의도에 대규모 CEO 교체가 일어날지 주목된다.
25일 금융투자업계, 금융감독원 전자 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자기자본 기준 상위 20곳의 증권사 가운데 10곳이 내년 1분기 말(3월 말)까지 CEO의 임기가 종료된다.
CEO의 임기가 끝나는 증권사는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대신증권, 유안타증권, 교보증권, 현대차증권, DB금융투자, IBK투자증권, SK증권 등이다. 임기 만료가 다가오지만 어려운 영업 환경에서 작년보다 실적이 개선된 증권사들은 CEO들이 연임에 성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1위 미래에셋대우는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이 5천253억 원으로 2017년 기록한 연간 최고 순이익(5천49억 원)을 3분기 만에 뛰어넘어 최현만 수석부회장과 조웅기 부회장의 연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최현만 수석부회장은 1999년 미래에셋 창립 멤버이며 조웅기 부회장은 2018년 12월 사장에서 부회장으로 승진한 지 1년이어서 교체 가능성이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오너 일가가 없는 NH투자증권의 경우, 정영채 사장이 취임한 지난해 순이익 3천615억 원,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 3천599억 원으로 2년 연속 역대 최대 실적 시현을 앞두고 있어 정 사장의 연임이 점쳐진다.
정일문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3분기 누적 순이익 5천333억 원으로 작년 동기(4천109억 원)보다 29.8% 증가하는 실적을 보였다. 정 사장 역시 취임한 지 1년밖에 안 돼 연임이 전망된다. 한국투자증권의 임원 임기는 매년 1년으로 최장수 CEO 타이틀을 가진 유상호 전 사장(현 부회장)도 12년 동안 11차례 연임했다.
김해준 교보증권 대표, 이용배 현대차증권 사장, 김영규 IBK투자증권 사장, 김신 SK증권 사장 역시 회사가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이 지난해 대비 증가해 연임 가능성이 나온다.
작년보다 다소 부진한 실적을 내놓은 대신증권, 유안타증권, DB금융투자는 분위기 쇄신 등을 이유로 CEO가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SK증권은 올해 누적 3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지난해 7월 최대 주주가 J&W파트너스로 변경됐고 김신 사장이 2013년 12월부터 6년 동안 자리를 지켜와 인사이동 여부가 주목된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