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탐방로 재포장 추진… 콘크리트길→황톳길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남문~북문 3.8㎞ 구간
노면 훼손 친환경 소재 검토… 문화재청, 허가가 관건

경기도가 세계문화유산 ‘남한산성’의 탐방로 재포장을 추진한다.

수십 년 세월 동안 훼손된 기존 콘크리트 길을 걷어내고 친환경적 등산로를 새로 만들겠다는 계획이지만, 사적(史蹟)으로서의 보존 가치를 따져봐야 하는 만큼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25일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에 따르면 도는 오는 2020년 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사업비 13억9천만 원을 들여 남한산성 주요 탐방로(남문~북문ㆍ약 3.8㎞)의 훼손된 콘크리트 포장구간을 재포장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는 연간 319만 명이 방문하는 남한산성의 탐방로를 황토ㆍ마사토 등 친환경적 소재로 바꿈으로써 탐방객의 이동 편의를 보다 높이겠다는 취지다.

앞서 남한산성은 지난 201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성곽에 쓰인 돌의 종류ㆍ자재의 구성물질ㆍ성곽을 쌓은 모습 등이 전통 기술의 관리 체계와 옛 문화 정신을 담고 있어 역사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다는 이유다. 이에 남한산성 전체 면적 1천262만여㎡ 중 409만여㎡(32.3%)이 ‘유산 지역’으로 지정된 상황이다.

하지만 1980년대에 만들어진 콘크리트 탐방로 곳곳이 최근 깨지거나 부서지기 시작하면서 도는 유산 지역을 포함한 일부 탐방로 구간의 재포장 방안을 모색하게 됐다. 현재까지의 구상은 내년 3월 실시설계용역을 추진하고 11월께 발주에 나서 오는 2022년 7월 준공이다.

관건은 문화재청이다. 도는 탐방로를 재포장하기 전 문화재청으로부터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세계유산 보존’을 이유로 허가가 쉽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탐방로 자체는 지정 문화재가 아니지만 재포장 공사 과정에서 성곽이 (진동에) 울리는 등 충격을 받을 수 있고, 문화재보호구역 내에서 진행되는 일인 만큼 문화재청의 허가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탐방객 안전과 문화재 가치 증진을 위해서라도 허가 과정이 원활히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사적평가위원회를 열어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경기도나 광주시 등 남한산성 관할 지자체가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정식으로 신청하면 내부적으로 논의한 후 결정할 것”이라며 “탐방로 재포장이 문화재를 훼손하지 않고 더욱 좋게 개선하는 방향이라면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