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도시형 소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춘산 인하대 산학협력단 교수는 최근 발표한 ‘인천지역 소공인 집적지 실태조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인천지역의 전략적인 중요도에 비해 소공인의 부족한 하드웨어를 보완해 줄 집적지구가 없다”며 “소공인특화지원센터도 송도 1곳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천지역 소공인 2만명을 시 자체 예산만으로 지원하기에는 매우 부족하다”며 “지원대상도 상대적으로 조직화가 잘 이뤄진 소상인이 함께 들어가 지원 가능성이 비교적 열세로 보인다”고 했다.
2019년 10월 기준 전국 소공인 집적지구는 21곳이며, 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34곳이다.
인천시는 도시형 소공인을 지원하고자 관련 조례에 따라 인천소상공인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센터는 2019년 자체사업으로 총 29억원의 예산을 편성하고 SOS응급클리닉과 경영개선사업 등 18종의 소상공인 역량강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인천지역 도시형소공인의 지원전략 수립을 위해 도시형소공인 맞춤형 지원 정책 개발과 전문조직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지자체와 중앙정부 지원정책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인천소상공인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는 지난 29일 제물포스마트타운 2층에서 ‘인천지역 도시형소공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토론회’를 했다.
토론회에는 박승욱 인하대 경영학과 교수, 김춘산 인하대 교수, 전순옥 전 국회의원, 윤정호 문래동소공인특화지원센터장, 오승섭 인천소공인협회장 등이 참여해 소공인의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강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