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일부 시민사회단체의 반대 기류와 관련, ‘김진표 총리 카드’를 재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여당과 경제계에서는 오히려 ‘김진표 역할론’이 제기되고 있다.
중도층을 끌어안고 ‘경제 살리기’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의지를 피력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정치·행정 경험을 갖춘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수원무)을 후임 총리로 기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8일 민주당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일부 시민사회단체가 김 의원에 대한 반대 의견을 냈지만 당내에서는 ‘최적의 인사’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이날 본보와의 통화에서 “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에 국정기획자문위원장을 맡아 국정과제 전반을 직접 설계했다”며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누구보다 정확하게 각 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는 최적임자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랜 공직 생활을 거치면서 다양한 경험과 추진력을 갖췄고, 공직사회와의 소통 능력 면에서도 강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일각에서 반대 의사를 표명하는데 이는 전체 숲을 보지 않고 일부 나무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이라며 “김 의원은 금융실명제 때 실무 책임자로 일했고, 부동산 실명제, 상속·증여세 강화, 외환위기 당시 30대 재벌기업 중 16개를 구조조정하는 재벌개혁을 주도했는데 ‘친재벌’, ‘개혁성 부족’이라는 프레임을 덧씌우는 건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도내 한 재선 의원도 “정부가 혁신성장을 추진하고 있는데, 김 의원은 금융혁신을 기초로 한 ‘기술혁신형 중소벤처기업’ 육성이라는 확고한 철학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는 김 의원 총리 지명에 대한 찬성 글이 올라와 현재 6천 명 이상이 동의했고, 경제계에서는 “실물 경제와 금융을 잘 아는 김 의원이 총리에 임명돼야 한다”며 찬성 논평이 잇따르고 있다.
한편 김 의원은 지난 6일 수원시 권선구에 있는 자신의 지역구 사무실에서 한국도로공사에 직접고용을 요구하며 농성 중인 톨게이트 요금 수납원들과 만나 면담을 진행했다. 김 의원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제 사무실을 찾아주셔서 감사하다”며 “민주당 의원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고양정)과 만나 이 문제를 논의하겠다”며 ‘집단해고 사태’에 대한 해결 노력을 약속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